-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식품정책의 방향과 과제

목차
서 론
식품정책의 범위와 기본 방향
식품산업정책의 방향과 과제
식품 영양 및 식생활 정책의 방향과 과제
식품 안전관리정책의 방향과 과제
요약문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suggesting a desirable food policy direction and finding necessary tasks to be performed to head in the direction. To this end, policies regarding food industry, nutrition and eating habits, and food safety management were mainly reviewed. Also, researchers have formulated a research council and held policy workshops together with KREI researchers, external experts and policymakers to exchange opinions.
Food industry is a primary industry of producing and supplying foods. It is closely related with other industries, and most of all has a big impact on agriculture and fishery in terms of production inducement. The world food industry has been expanding continuously and the growth of the functional foods market has been especially rapid. The Korean food industry has shown stagnant growth mainly due to its small scale, lacking and inefficient R to help them develop a habit of eating nutritionally-balanced foods; and to actively promote the values of traditional dietary culture, thereby contributing to expanding foreign demand for traditional Korean foods and improving the national image.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set the goal of establishing proper dietary habits and educate the general public about them.
The trend of eating more imported foods increases the uncertainty about food safety and has the potential to cause a large-scale food safety disaster. Against this backdrop, the interest in food safety among consumers is intensifying as well. Any food safety management policy should be consistently applied from food production to consumption, secure transparency in policy implementation, and enhance consumer trust. To make it possible, the essential tasks to be performed include early settlement of the food safety management policy, preparation of a foundation to build consumer trust, strengthening of the hazardous materials monitoring system,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food safety policy.
Researchers: Lee, Yong-Sun et al.
E-mail address: yslee@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64147
-
좋아요0
-
다운로드32
같은 분야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미래농업 대응 신성장 산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이정민2024.10.30KREI 보고서 -
-
-
A Study on Improving the Revenue Structure of Public Expenditure in Agriculture (영문요약본)
김미복2023.10.30KREI 보고서 -
공공형 계절 근로 시범사업 성과와 과제
엄진영2023.11.30KREI 보고서 -
2018~2022년 농가경제 심층분석
민선형2024.04.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2023.12.30KREI 보고서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엄진영2023.12.30KREI 보고서 -
글로벌 식량 공급망 분석과 과제(1년차): 식용유
김종진2023.11.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제12회 세계농촌사회학대회 개최 결과 보고서
- 이전글
- 산림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1/3차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