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촌 및 낙후지역 개발사업의 추진 실태와 통합적 추진모형 구축

목차
연구의 개요
선행연구 검토 및 분석의 틀
농촌 및 낙후지역 개발사업의 현황과 과제
농촌 및 낙후지역 개발사업의 현장 적용과정 분석
선진국의 통합적 농촌 지역개발사업 추진체계 사례와 시사점
농촌 및 낙후지역 개발정책의 통합적 추진모형 구축을 위한 정책 과제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subjects in rural policies to settle an integrated pursuing model of various development programs for rural and underdeveloped regions. This study largely consists of three parts, which are (ⅰ) to make an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in pursuing development programs for rural and underdeveloped regions, (ⅱ) to draw implications through the examples of foreign countries that have experiences of trying their own integrated pursuing models, and (ⅲ) to draw policy subjects to develop a Korean integrated program-pursuing model.
For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we take two steps. The first step is to analyze the present pursuing condition of development programs with government documents. In this process, the inventory of programs for rural and underdeveloped regions are operationally defined as programs from "Plans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of People in Rural Regions" and a part of programs from the "Special Accounts for Balanced Development of Country.
The second step is to verify six research questions inferred from the first-step analysis on the spot of projects. The research questions are demonstrated by means of focus group interviews and surveys which questioned the concerning bodies about the promoting state of the program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and their opinion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eight policy subjects on the basis of policy directions derived from the two-step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The proposed policy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establishment of definite policy goals should be preceded. Second, it is necessary that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be rebuild up and the existing way of one-unit-based program should be avoided. Third, spatial boundaries for application of rural policies should be clearly defined. Fourth, establishment of Rural Area Plan which have binding power over the region should be institutionalized. Fifth, it is required to reorganize various laws concerning rural development programs. Sixth, evaluation system for performance management is needed. Seventh, construction of the basis of regional statistics should be proceeded in order that it can be possible to establish Rural Area Plan and to settle an evaluation system for performance management. Lastl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regional bodies such as local government officials, experts and residents of the region are required to enhance their capability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development programs.
Researchers: Song, Mi-Ryung, Kim, Kwang-Sun and Kwon, In-Hye
Research period: 2008. 3. - 2008. 10.
E-mail address: mrso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7305
-
좋아요0
-
다운로드1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시·군 기초생활권 정책 발전방안 구상
- 이전글
- 쌀 관세화유예 3년의 평가와 향후 방향 : 토론회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