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국제곡물시장의 새로운 변화와 국내 대응방안

목차
서 론
국제 곡물수급 동향 및 전망
국제 곡물가격 상승의 파급영향
국내 대응전략
요약 및 결론
요약문
2006년말 이후 최근까지 옥수수, 소맥, 대두, 쌀 등 국제곡물 재고량이 지속해서 감소하면서 국제곡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세계는 국제곡물 가격급등이 관련 산업에 미칠 각종 파급영향과 더불어 국제곡물 가격이 높은 수준에서 고착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최근 국제곡물 가격상승은 기후온난화에 따라 발생된 호주 등 몇몇 곡물 생산지역의 작황부진 등 공급부문 요인과 BRICs국가를 중심으로 높은 경제성장과 소득증대에 따른 식용 및 사료용 곡물수요 증대, 국제원유가격의 지속적인 급등에 따른 대체에너지원으로서 곡물수요 증대 등 수요부문 요인이 주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OECD, FAPRI 등 주요 전망기관은 최근 국제곡물 가격급등이 2008년 이후 단기에 완화될 것으로 발표한 바 있으나, 앞서 언급한 국제곡물 가격상승의 주요 요인들이 단기에 해소될 수 있는 요인이 아니라는 점, 곡물가격 실측치가 이들 기관의 중장기 전망치를 이미 상회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이들 기관의 전망을 위한 국제유가 등에 대한 가정이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점 등이 지적되었다.
이 연구보고서에서는 국제유가, BRICs국가 경제성장, 바이오연료 곡물수요 등 국제곡물 가격에 미치는 주요변수에 대해 보다 현실적인 중장기 변화를 고려해서 국제곡물 중장기 수급 및 가격을 전망하고, 이에 따른 국내 관련 산업 파급영향을 계측·제시하고 있다. 특히 중장기 국제곡물 수급변화에 대응해서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식량자원 확보방안 중 해외식량자원 확보방안에 초점을 두고, 해외진출지역의 선정기준, 전략품목 선택기준, 진출방식의 선택기준, 관련주체들의 역할, 해외농업개발 투자지원정책 수립방향 그리고 해외진출에 선행해서 검토해야할 국제 규범 등을 상세히 서술하였다.
The World is focussing on the impact of the rapid increases of some grains such as corn, wheat, and soybean in the international market on the world economy. The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aginflation phenomenon which is a compound word of agriculture and inflation. In particular, Korea as the fifth country of grain import in the world should know the current situation, forecast, and impact of higher grain prices. Also she should prepare for better strategies to minimize bad effects of higher international grain prices.
The direct reason of higher international grain prices is the increase of grain demand for bio-fuel which leads to the competition between the demand for food and demand for energy. Therefore, the trend of combing the food security with the energy security makes the structure of grain supply and demand more complex.
If the grain market structure changes from a circular structure like a business cycle to a chronic extra demand structure, the strategies for securing international grains should be establish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us, are as follows,
1) to find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international grain prices,
2) to forecast the international grain prices,
3)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higher grain prices on the domestic economy, and
4) to design the strategies to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s to the livestock industry and the food industry.
The ways of minimizing the negative effects of higher grain prices are the establishment of the early warning system, the expansion of the future market for grains, and the active policy support for setting up the foreign agricultural development import system.
Researchers: KIM, Yong-Taek and Bae-Sung KIM
E-mail: Yong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37450
-
좋아요0
-
다운로드65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지역농업 활성화를 위한 영농조직 모형 및 지원시스템 개발
- 이전글
- 농지보전부담금 감면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