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출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경영보고서
- 공공데이터 오픈 API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통계로 본 한국농업의 국제비교 연구
목차
서론
세계 각국 농업 비교를 위한 지표
주요 지표로 본 한국 농업의 위상
세부 지표로 본 세계 속의 한국 농업
해외 농업 통계 데이터베이스 개요
요약문
농산물 시장의 개방화가 진전됨에 따라 세계 각국의 농업 여건은 더욱 밀접하게 연관되어 가고 있다. 더불어 최근 FTA 체결이 확대되면서 상대국의 농업·농촌에 대한 통계정보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이에 부합하고자 농림부에서는 매년 「통계로 보는 세계 속에 한국농업」을 발간하여 왔으며, 우리 연구원에서는 지난해 처음으로 「통계로 본 한국농업의 국제비교 연구」를 발간하기 시작하였다.
이 보고서는 해외 농업·농촌 통계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지난해 발간된 「통계로 본 한국농업의 국제비교 연구」의 통계자료를 최근 연도까지 갱신한 것으로 인터넷과 통계집 검색을 통해 수집한 해외 농업통계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주요지표로는 농업 거시지표, 생산지표, 수출입지표, 그리고 소비 및 가격지표 등 네 부문으로 구분하여 수록하였다. 각 지표는 국제 농업을 비교할 수 있는 세부 지표들로 구성되어 있다.
농업 거시지표는 농업 GDP, 농업부문 보조금 등 총량 부문과 농가인구, 경지면적, 농업자본액 등 생산요소 부문 자료를 포괄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최근 수요가 늘고 있는 유기농업과 농업용수 등에 대한 자료도 거시지표에 포함시켰다. 생산지표는 주요 작목별 생산량과 재배면적, 단수, 그리고 축산부문은 사육 및 도축두수, 육류 생산량, 그리고 도축 중량 등으로 구성하였다. 수출입지표는 기본적으로 주요 품목들의 수출입액과 수출입량, 수출입 단가를 수록하였다. 특히 농수산물유통공사의 자료를 참고로 해당 품목에 대한 국내 교역 대상국들의 자료를 함께 수록하여 한 눈에 해당 품목에 대한 세계 교역량과 국내 교역량 자료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소비 및 가격지표에서는 주요 품목별 총 식품공급량 자료와 함께 1인당 1일 식품공급량 자료를 지표로 활용하였으며, 생산자 가격과 소비자 가격을 포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and systemize statistical indexes to find the state of Korean agriculture in the world. Although there were many studies or documents on inter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most of them focused on agricultural production data and simply presented them.
In order to systemize inter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we classified them into 5 categories which are aggregate index, production index, trade index, and consumption and price index. Each group has detailed indexes. Several indexes like government support and expenditure for agriculture were introduced to meet new statistical demand. In particular, agricultural trade data were basically summarized using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database and Korean agricultural imports and exports were classified by major counter parts using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aT) database. It helps to find the state of Korea in world market and the route of its imports and exports.
This study was divided into five chapters. Chapter 1, as an introduction part, gave the problem statement, objectives and the scope of this study. In chapter 2, the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s of agricultural statistic indexes were explained. Chapter 3 covered the summary of each index and its long term change(10years). In this chapter, each classified index was visualized using a graph and compared Korea with world and top three countries. Chapter 4 gave detailed agricultural statistical indexes classified in chapter 2. Finally, the sources and contents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 database were presented for users requiring time-series data and other indexes.
Researchers: Yean Jung Kim, Oh Bok Kwon, Jun Ho Seung, Seong Hwan Song
Research period: 2008. 5. - 2008. 9.
E-mail address: yj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6004
-
좋아요0
-
다운로드33
같은 분야 보고서
-
선제적 수급 관리를 위한 소비 관측 기초 연구
이형용2025.06.30KREI 보고서 -
염소산업 동향 분석과 과제
이용건2025.06.30KREI 보고서 -
AI를 활용한 농림업 정책 고도화 방안 연구
구자춘2025.04.30KREI 보고서 -
2024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실태 점검·평가
권인혜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시행계획 점검·평가
정민주2024.12.30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노수정2025.08.22KREI 보고서 -
초고령사회 농촌의 치매관리 실태와 개선과제
김수린2025.04.30KREI 보고서 -
농어촌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발전방안 연구
심재헌2025.06.30KREI 보고서 -
농촌경제 제48권 제2호
KREI2025.06.21KREI 보고서 -
연차보고서 2024
KREI2025.06.05KREI 보고서
- 다음글
- 해외농업개발 지역별·대상작물별·유형별 실행계획
- 이전글
- 해외농업개발 장기전략 및 실행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