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출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경영보고서
- 공공데이터 오픈 API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관련 지적재산의 보호와 개발 전략
목차
서 론
지적재산권 관련 국제협약 및 논의 동향
지적재산권 관련 법체계와 실태
지적재산의 경제적 가치 평가
지적재산권의 분쟁사례
지적재산의 보호와 개발 전략
요약문
This study's objective is to review the institutional aspects of intellectual properties and genetic resources situation, to evaluate economic value f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agricultural sector, and then to suggest the development strategies and protections of intellectual rights. The mai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agricultural sector include patent on plant, protection of new plant variety and geographical indications.
The plant variety protection was established by the Seed Industry Law along with the 1991 UPOV Act. The purpose of the Law is to develop seed industry and to stabilit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by enacting provisions on protection of the breeder's right, management of variety performance, seed production, certification, marketing and etc. The National Seed Management Office, as an implementing agency for the Plant Variety Protection has been reorganized in 1998.
The economic values of patent on plant, geographical indications and trademarks for specific crops were evaluated by the econometric methods. For example, this study is to estimate consumer’s marginal willingness to pay for geographical indication of Seongju melon.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estimated marginal willingness to pay for geographical indication is very meaningful. Consumers are willing to purchase geographical indication products even if its price is higher than ordinary agricultural product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consumers have very high reliability towards geographically indicated products.
The concerns to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agricultural sector are increased. Therefore, it should need a policy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agriculture for protecting their rights. This study suggested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he protection of new plant variety, applying R&D results to agricultural production, and activating the geographical indication for regional economy.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8748
-
좋아요3
-
다운로드11
같은 분야 보고서
-
선제적 수급 관리를 위한 소비 관측 기초 연구
이형용2025.06.30KREI 보고서 -
염소산업 동향 분석과 과제
이용건2025.06.30KREI 보고서 -
AI를 활용한 농림업 정책 고도화 방안 연구
구자춘2025.04.30KREI 보고서 -
2024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실태 점검·평가
권인혜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시행계획 점검·평가
정민주2024.12.30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노수정2025.08.22KREI 보고서 -
초고령사회 농촌의 치매관리 실태와 개선과제
김수린2025.04.30KREI 보고서 -
농어촌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발전방안 연구
심재헌2025.06.30KREI 보고서 -
농촌경제 제48권 제2호
KREI2025.06.21KREI 보고서 -
연차보고서 2024
KREI2025.06.05KREI 보고서
- 다음글
- 파프리카 산업의 현황과 과제
- 이전글
-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새로운 도전과 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