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한·칠레 FTA 농업부문 영향평가

목차
서 론
한·칠레 FTA 파급영향 관련 선행연구
이행 결과 평가 관련 선행연구
한·칠레 FTA 영향 평가
요약 및 결론
요약문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evaluate the impact of an FTA with Chile on the Korean agriculture since the FTA was in effect in 2004. In the evaluation, exchange rate, exporting price of Chilean products, are considered. The products interested in this research include grapes, wine, pork, and kiwi because the value of these four products amounts to $120 million in 2005, taking over 95% of total import from Chile.
Chile's share in total Korea import has been increasing. The share of Chile in total agricultural import increased from 0.2% in 2001 to 0.6% in 2005. The share of Chile' meat rose from almost 0% in 2001 to 3.4% in 2005.
It should be noted that all increases in import from Chile are not caused by the Korea-Chile FTA. Some increases in import were induced by the change in exporting price in Chile and the appreciation of the Korean won. For example, the import of Chilean grapes increased by $6.4 million between 2004 and 2005. Such increase in Chilean grapes import was affected by appreciation of Korean won, rise in exporting price in Chile, and shift in domestic demand as well as tariff reduction by the Korea-Chile FTA. Thus,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find net effect of the FTA from the gross increase in import of Chilean products.
The impact of Chilean grapes import is about 3.7~7.5 billion won in 2005, 5.5~11.2 billon won in 2006 in terms of production value. It is not certain that Chilean grapes affected other fruits harvested in fall such as apples, pears, and mandarin orang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subsidies for grape growers who decided to close farms contributed to maintaining domestic prices by 2.3% in 2005 and 3.4% in 2006. Domestic grape price would have fallen more if there had not been the subsidies.
The Korea-Chile FTA is likely to have no impact on domestic kiwi producers because the import of Chilean kiwi is usually not overlapped with the production of domestic kiwi. Note that Chilean kiwi is imported between April and October while domestic kiwi is produced between November and May.
For pork, it is not easy to analyze the Korea-Chile FTA because of lack of data, considering that Chilean pork began to be imported from 2002. Based on a cross elasticity of US pork, the impact of the FTA on the domestic pork industry was estimated indirectly. In value terms, the domestic production would have decreased by 2.7~8.0 billion won in 2004 and 5.4~16.0 billion won in 2005.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0056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참건강고장 영양군 신활력사업」 FD컨설팅 종합보고서
- 이전글
- 농어업인 국민건강보험료 경감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