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산촌의 어메니티 창출 전략과 과제

목차
서론
농산촌 어메니티 개념 및 특징
농산촌 어메니티 자원 분류와 유형화
농산촌 어메니티 발굴 및 창출 사례
농산촌 어메니티 자원 발굴과 창출을 위한 정책 과제
결론
요약문
Recently, there have been growing interests in rural amenities which ar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local asse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rural amenities and suggest strategies and policy directions for developing and utilizing amenity resources in rural areas. The survey conducted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many people living in rural regions place high importance on amenity-oriented local development and have intention of participating in community activities which develop natural, traditional,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ir locale.
In order to have a more detailed knowledge of amenity-cultivating practices in countryside areas, two case studies were carried out in lakeside villages located in Hwacheon County and rural district of Baekun-Myeon in Jinan County. From these surveys we can get some indications regarding development of rural amenities: (1) institution building is important which promotes amenity-cultivation activities of residents and various stakeholders in rural communities, (2) working out a program connecting various resources in a community is the key to a successful amenity-led community development, (3) ordinary resources may contribute to enhancing the attractiveness of a place by cultural process discovering and valuing the uniqueness of local assets.
In spite of the growing interest in rural amenities among residents and practitioners, there are only limited programs aimed at promoting activities of cultivating amenities of a rural community. Most local governments have no municipal planning system that can facilitate integrated development of various community resources. And it is not usual that residents and stakeholders in a locale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rural amenities of their territory.
To make livable rural communities, it is desirable that local governments and inhabitants take initiative in developing and creating rural amenities. And the central government needs to focus on sponsoring community-level activities which try to develop valuable local assets and utilize them in order to vitalize the territory. To support such activities, more flexible programs should be worked out and various kinds of policy tools need to be developed by the government. And a constant effort needs to be made nationwide to promote the value of rural amenities to the public and help people understand the need to implement policies of cultivating rural amenities.
Finally, local partner groups are expected to play a more important role in amenity-led rural development processes. So municipal governments should build or strengthen partnerships for effective local governance system that may include various stakeholders, voluntary groups, and public bodies, etc.
Researchers: Joo-In Seong and Mi-Ryung Song
E-mail: jiseo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1753
-
좋아요0
-
다운로드1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지보전부담금 감면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이전글
- 농촌경관 관리 및 지원 시범사업에 대한 성과 분석 및 개선 방안 도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