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림투융자사업의 투명화와 농업금융의 안정화 과제

목차
서 론
농림투융자사업의 개념과 이해
UR 이후 농림투융자사업의 성과와 반성
농업·농촌종합대책 분석
농업자금 이용제도 개선방향
농림투융자사업의 투명화와 농업금융 안정화 과제
요약문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the capital inflow into the agriculture and rural sector with respect to the government and the rural financial market. To progress the structural adjustment of agriculture in the post DDA/WTO era, Korea launched new integrated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program in 2004. This study focuses on interpreting the program and analyzing its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the past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s since 1992. It is also designed to review the rural financial market situation and suggest new financial services and policy directions.
The integrated development program is supported by 119 trillion won investment plan for the period of 2004 to 2013. It changed policy direction from investments to production and from marketing to income support for farm households suffering from stagnant income and increasing debt burden since the mid-1990s. In addition, the portion of investment to rural community development increase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ving of rural residents. However, many farmers did not expect success of the program based on the past experience of investment policy failures and uncertainty of future agricultural environment as protection level of agriculture is lowered. This low level of trust on policy is another barrier for the government to overcome.
The information asymmetry of agricultural investment programs is one of the factors which have caused the low level of trust on policy. The government used the total amount of agricultural investments as a way of persuading farmers to accept the market opening policies since the agricultural trade negotiations under Uruguay Round were launched. But this strategy caused farmers to have high expectations for government supports and made taxpayers to regard too much resources allocated to the inefficient sector such as agriculture. In fact, great portion of investments was allocated to modernizing agricultural infrastructure and increasing the farming scale of large farms. This improved productivity and increased supply of agricultural products, which in turn lowered price level and farm income, and increased farm household debts. Many farmers suffering from low income and high debt burden criticize the government and its policy failure.
Cooperative credit is a main source of external capital for farmers and the credit guarantee system for farmers is an important policy instrument to reduce failure of rural financial markets. Although the cooperative banking is relatively sound because of strong supports of the credit guarantee fund for farmers, it is expected that this good situation will not be continued as market competition intensifies. Thus, the strong structural adjustment of agricultural cooperatives is needed for the new phase of rural and agricultural environments of market opening. Furthermore, cooperatives should make further efforts to develop new financial services for aging rural community.
Researcher: Seong-Jae Park, Yong-Taek Kim, Eui-Sik Hwang,Han-Pil Moon, and Yong-Won Cho
E-mail Address: seongjae@krei.re.kr, yongkim@krei.re.kr, eshwang@krei.re.kr, hanpil@krei.re.kr, cyw00@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7392
-
좋아요0
-
다운로드1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농촌종합대책 투융자사업 평가모형의 정립 및 향후 투융자계획 조정방안 연구
- 이전글
- 농업부문 FTA 파급영향과 대응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