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학습활성화

목차
서론
농업 인적자원개발과 학습
농업인 학습 관련 제도
농업인 학습 실태와 요구
농업인 학습 관련 국내외 사례
농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학습 활성화 방안
요약문
지식과 정보가 개인 및 국가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지식기반사회로 접어들면서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이는 급속한 과학기술의 변화, 지식기반경제로의 전환, 노동시장의 변화 등으로 국가와 산업체 모두가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농업분야도 농림부, 농촌진흥기관, 농협 등과 같은 공공부문뿐만 아니라 농업인 단체와 품목 단체 등 생산자 단체의 인적자원개발 관련 예산을 늘리고 새롭게 관련 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 보고서는 농업인 학습 관련 이론 고찰, 관련 제도 분석, 관련 실태와 요구 분석, 관련 사례 분석 등을 통해 농업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학습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농업인 전문성 개발이 기존의 집체식 ‘교육·훈련’ 중심보다는 ‘학습’ 중심 체제로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이에 적합한 농업 인적자원개발 방안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rategies to enhance farmers' learning and on-farm implement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s on farmer learning and transfer theory; an analysis of farmer learning related services and policies; a survey of 485 farmers on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needs; and a cas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best practices of farmer learning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pproaches of other industries.
Based on the reviews and analyses, this study developed strategies to enhance farmer learning and on-farm implementation, including a basic direction and fifteen specific steps.
The basic direction is that more farmers should be promoted to participate in learning programs such as education and training, learning organization, expert consulting, and informal learning such as discussion with peer farmers, reading agricultural books, newspapers or magazines, internet searching, etc.; participating farmers should be provided with more various forms of learning resources to have access to best contents, anywhere, and anytime; and more learning outcomes of farmers should be implemented on their farms.
The specific steps to foster farmers' learning and practice include the following: ① develop a trusting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rogram providers and participants; ② strengthen the public relations of farmer learning programs; ③ promote the value of farmer learning; ④ develop the competences of HRD practitioners and facilitators in farmer learning institutes; ⑤ activate "Blended-Learning"; ⑥ develop national occupational standards for agriculture; ⑦ indicate various learning pathways after training courses; ⑧ consolidate small learning institutes; ⑨ stimulate learning programs on farm management; ⑩ encourage learning by on-farm implementing units; ⑪ equip farmers with a learning map and a farm business plan; ⑫ encourage learning activities customized by farming levels and careers; ⑬galvanize the learning network among farmers (organizations), learning institutes, and the government; ⑭ strengthen the participants' evaluation of farmer learning institutes; and ⑮ set up an agricultur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Researchers: Sang-jin Ma, Kyung-eun Choi
E-mail address: msj@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4285
-
좋아요0
-
다운로드25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부문 바이오매스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과 전략(2/2차연도)
- 이전글
- 농가의 경제사회적 성격변화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