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버섯 특화사업의 육성방안

목차
1. 서론
2. 버섯생산실태와 문제점
3. 버섯소비실태와 소비자 선호
4. 버섯 수출입현황 및 수입국 생산·소비실태
5. 버섯 생산·유통·수출입 조직화 방안
6. 버섯특화산업의 육성방향
요약문
우리나라 버섯산업은 국민소득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2000년대 초반까지 빠르게 성장하였으나 최근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2005년 기준 버섯 생산액이 농림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종전에 비해서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1.6%로 특용작물을 앞지르고 있으며 여전히 중요한 소득 작물의 위치를 지니고 있다.
버섯산업은 새송이 버섯의 예에서 보듯이 품종개발이 활발하고 재배방법도 다양해서 품목별 수급안정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분야이다. 최근 일부 버섯 생산이 과잉 기조를 보이면서 농가의 경영도 매우 불안정한 상태이다. 우리나라 버섯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버섯농가의 경영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농산버섯의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가격하락 및 불안정한 농가소득을 보다 안정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버섯생산부터 소비에 이르기까지 문제점을 파악하고, 수급조절을 통한 가격안정 및 농가소득 안정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나아가 우리나라 주요 버섯 수입국의 생산·소비성향을 파악하여 국가별 수출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per capita consumption as well as production of mushrooms has been increasing annually in recent years. Despite the increase in consumption, however, the price of mushrooms has continuously been falling as the mushroom production increased at a faster rate. Also, the seasonal im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has brought about uncertainty on farm household income, creating a weak foundation for farm management and raising management risk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ractical way to secure farm income stability and working strategies to strengthen field competitiveness in relation to the produc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and export of mushrooms.
In general, mushroom spawn and seedbeds carry the largest weight in production cost, followed by lighting and heating expenses, and labor cost. Thus, there is the need for specialized seedbed suppliers who can supply high-quality seedbeds at low prices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mushrooms. Also, it is imperative to build a management system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high-quality mushroom spawn.
The biggest problem in the distribution of mushrooms is the instability of income through price fluctuations and low prices.
According to a customer survey, the demand for mushrooms has steadily been increasing due to health and taste reasons. Thus, for the successful increment of domestic consump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ushroom recipes, supply low-priced mushrooms, and reinforce the origin labeling regulation.
Even though the demand for "environment-friendly" mushrooms is expected to ris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upply cheap and bio-functional mushrooms, accompanied by continuous PR efforts to promulgate recipes and health benefits.
Meanwhile, for the successful export of Korean mushrooms into overseas marke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and develop new varieties, and constantly create new demands in local markets. At the same time, it is essential to build export and information support systems.
Lastly, government policies should be selective, focusing on specialized leading farms with a growth potential. In particular, the numerous producer groups, such as specialized centers for project management and marketing corporations and councils, and research institutes for the production and marketing of mushrooms should be systemized and led by the tentatively named "Mushroom Marketing Board." For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the domestic mushroom market, the Board should take the initiative to supervise these organizations and keep the market demand and supply in balance.
Researchers: Kim Yean-Jung, Han Hye-Sung, Lee Wong-yeon
E-mail address: yjkim@krei.re.kr
E-mail address: funny1978@krei.re.kr
E-mail address: coolpro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7023
-
좋아요0
-
다운로드46
같은 분야 보고서
-
산림 인접지역의 효과적 산불 관리를 위한 개선과제
안현진2024.12.30KREI 보고서 -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손학기2023.12.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6/10차년도): 산림통합관리권역 DB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 지자체 국토생태축과 7단계 백두대간 산줄기 위계DB 비교 - 국가·광역·지역·시군구 산줄기를 중심으로
손학기2022.12.30KREI 보고서 -
지방분권 대응 협력적 산림정책의 전략과 과제
구자춘2022.10.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 스마트 산림경영 연구
안현진2022.10.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농촌종합대책 집행평가 및 조정방안 연구
- 이전글
- 조합유형별 상호금융 발전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