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식품 중 위해물질의 위해관리를 위한 Risk/Benefit 분석 Model 개발

목차
연구개발결과 요약문
총괄연구과제 연구결과
요약문
소득수준 향상과 고령화에 따라 소비자의 안전한 식품에 대한 구매요구는 더욱 증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화와 과학의 발달에 따라 신종유해물질이 증가하고, 교역량 증가에 따라 식품 위해사건이 광역화·대형화되는 추세이다. 또한 식생활에서 가공식품 및 외식 소비 증가 등으로 생산자와 소비자의 거리가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그동안 식품안전관리는 분산 운영에 따른 문제점 등이 지적되어 왔지만, 다른 한편으로 식품행정에 대한 소비자 불신과 불안이 식품사건을 증폭하여 과도한 사회적·경제적 손실을 초래해온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연구는 식품 위해물질의 효율적인 관리정책 마련을 위한 경제성 평가 모형 개발을 연구목표로 하였다. 위해요인 평가를 위한 분석모형을 개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경제성 평가모형의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식품 위해물질의 분류와 위해성 평가현황을 검토하였으며, 경제성 평가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식품 위해물질 관리의 편익과 비용 추정모형을 정립하였다. 위해물질의 종류에 따라 편익추정방법을 구분하였으며, 지불의사추정법과 질병비용추정법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비용분석에서는 회계학적 접근법이 주로 적용되었으며, 위해관리제도 도입에 따른 정부 및 민간의 도입·운용비용을 포함하였다. 식품 위해물질 관리의 경제성 평가에 대한 사례분석에서는 단체급식 HACCP 도입과 사과의 발암 유발 가능 농약 관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식품 위해물질 관리의 경제성 평가 절차와 모형을 정립하고, 경제성 평가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위해관리시스템 구축방향을 제시하였다.
식품에 대한 위해성 평가는 일차적으로는 안전성 정보를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장의 비효율성을 낮추고, 정보비대칭성 제거와 정보탐색비용 절감을 통해 식품의 안전성을 제고함으로써 소비자의 효용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식품 위해물질 관리정책에 대한 비용·편익분석은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위해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회적 후생을 제고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isk/Benefit Model for Food Safety Regulation in Korea, and to present the strategy increasing efficiency of Korean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In this study, we briefly classified hazardous materials in food, and analysed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in Korea. Then, we developed a Risk/Benefit Model to evaluate the economic validity of Food Safety Regulation in Korea: WTP (Willingness-to-pay) and COI (Cost-of-illness) approach as models to measure social benefit from Korean food safety management, Accounting approach as model to measure social cost due to Korean food safety management, and B-C Ratio (Benefit-Cost Ratio) and NPV (Net Present Value) to evaluate economic validity of government regulations or programs for food safety in Korea. We also empirically measured benefit and cost of food safety regulation in two cases: Introducing 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in catering industry to eliminate the risk of food-born disease, and Limiting usage of agricultural chemical to eliminate the risk of cancer through intake of apple. These case studies will be good examples to showcase the way to utilize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During this research project, we collected and reviewed previous research, and interviewed many experts in various areas: Food Science, Medical Science, Engineering, etc. We also conducted field research and survey research.
This study offers not only methodology to evaluate the economic validity of government regulations or programs for food safety in Korea, but also ideas for Korean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Finally, we presented key strategies for better food safety management in Korea.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9890
-
좋아요2
-
다운로드3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The abstracts of KREI reports 2006
- 이전글
- Action Plan for Two Rural Communities in Vietnam : 베트남 농촌 지역개발 계획 수립 능력 향상을 위한 컨설팅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별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