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농촌에 대한 2006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목차
▷조사개요
▷조사결과
▷농정에 대한 건의 및 제안
▷조사결과 요약 및 시사점
요약문
DDA 다자간 협상과 한-미 FTA 협상이 진행되면서 농업이 국가 통상정책의 주요이슈로 다루어지고 있고, 사회적 관심도 그만큼 증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농업계와 비농업계의 상황인식 차이가 갈등으로 나타나기도 하면서 농업문제에 대한 국민적인 공감대 형성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에 따른 농업인 피해보상과 대응책 마련에는 무엇보다 국민들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농업 대책에 대한 도시민과 농업인의 여론을 파악하여 정책연구에 반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와 같은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매년 말 당 연구원의 현지통신원을 대상으로 실시해 온 농업인 의식조사를 2006년에는 일반국민까지 확대하여 실시하였다. 이 조사 보고서는 정책연구에 참고할 목적으로 2006년 12월부터 2007년 1월까지 도시민 1,500명과 농업인 85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정리한 자료이다.
도시민은 전국의 시군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인구비례에 따라 계층별로 할당표본추출로 표본을 선정하였으며, 농업인은 당 연구원의 조사패널인 현지통신원 2,000명을 전수 조사하였다. 이 조사에서 수입개방을 최소화하고 농산물 시장을 보호해야 한다는 여론이 도시민 60.7%, 농업인 69.8%로 나타났음. 어느 정도 개방이 불가피 하다거나 적극 개방해야 한다는 견해도 도시민은 39.2%, 농업인은 29.4%로 도시민이 10% 정도 높게 나타났다. 또, 도시민은 농업인이 농산물 시장개방에 반대하는 태도에 대해 74.5%가 ‘이유 있는 태도이므로 이해한다’고 심정적으로 공감하는 태도를 보여 일부 비판 여론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이번 조사를 통해 소비자인 도시민과 생산자인 농업인 모두 우리 농업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정하고 있지만, 농산물 시장개방에 대응하는 접근방식에는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Researchers surveyed 1,500 city residents and 857 farmers to find out about their opin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life. The results of the survey, which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06 to January 2007, showed that the city residents think "agriculture will remain an important industry even in the future (84%)" and "the industry needs to be protected (60.7%)." With respect to those farmers who stand against the complete opening of the agricultural market, 74.5% of the city residents said that the farmers' feelings are understandable. Also, nine out of ten city residents (90.4%)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ublic functions"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ies play, but only 52.8% of them said that they approve of a government policy to additionally charge them with financial burdens to sustain the public goodness of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ies.
Slightly more than a half of the city residents (51.3%) thought that the most desirable countermeasure to the further market opening i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agricultural industry itself, whereas an approximately same number of farmers considered a proper compensation policy as the best option to relieve the damage caused by the market opening. As to the means of compensation, the urban people preferred "indirect compensation (53.2%)" while the farmers opted for "direct compensation (49.8%)." This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a concrete policy with the conflicting views in mind. In terms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iving conditions, the urban people said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residential and living environment (14.8%) and that their quality of lives is 'relatively high' (14.8%). However, only 25% and 9.3% of the farmers said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living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respectively.
In addition, 71.3% of the urban people said that they wish to reside in an urban area after retirement, implying that an inducement program for rural residence is needed. As for the 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63.0% of the urban people said that they have trust in domestically produced agricultural products. A greater number of the urban people (78.7%) also said that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are safer than those from the United States. With respect to the welfare policy for rural communities, 86.5% of the urban people admitted that,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welfare in rural areas, a complimentary policy is necessary. 75.4% of the urban people agree with the idea of a budget increase to augment the welfare in rural areas, implying that the respondents think political influence is essent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welfare in rural areas.
Farmers' assessment of their rural lives and jobs has been changing in a positive way: 24.6% of the farmer respondents said that their quality of life last year (2006) has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5 years ago and that of 2005.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said their quality of life has improved from the previous year of 2005 has increased by 6.6%.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21.2% of the farmers, a 4.1% increase from the previous survey, said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job.
Researchers: Dong-Weon Kim and Hye-Jin Park
Research period: 2006. 12. - 2007. 01.
E-mail address: dongweon@krei.re.kr, frog78@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8385
-
좋아요0
-
다운로드20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통계로 본 한국농업의 국제비교 연구
- 이전글
- DDA협상을 반영한 중장기 쌀산업 발전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