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DDA 농업 모댈리티 협상안의 평가와 대응 방향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내용과 방법 2
제2장 모댈리티 협상 동향과 쟁점 분석
1. 모댈리티 협상 동향 3
2. 분야별 협상 쟁점 분석 5
3. 협상 중단의 원인과 시사점 41
제3장 시나리오 분석과 시뮬레이션
1. 시장접근 분야 49
2. 국내보조 분야 72
제4장 모댈리티 협상 전망과 대응방향
1. 모댈리티 협상 전망 83
2. 모댈리티 협상 전략 87
3. 이행계획서(C/S) 작성 방향 89
4. 국내 농정 대응 방향 92
제5장 요약 및 결론
1. 모댈리티 협상 안의 평가와 분석 97
2. 모댈리티 협상 전망과 대응방향 98
3. 연구 과제 99
부록 1 민감품목 대우에 관한 방법론 101
부록 2 DDA 농업협상 관련 용어 정의 107
Abstract 112
표·그림 차례 114
참고 문헌 118
요약문
This study examines trade and policy concerns raised during agricultural negotiations under the Doha Development Agenda and evaluates their potential impacts on domestic agriculture and farm policies. By analyzing key negotiation proposals tabled by major membe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and G20 developing countries, this research investigates modality issues on market access, domestic support and export competition.
The results of market access scenario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U and the G20 proposals would have Korea cut its tariffs less than the case of the US proposal. Second, the designation of sensitive products would attenuate a sharp cut in tariffs. But, the advantages of tariff cuts by designating sensitive products would be vanished if tariff capping is placed on. Third, special products could be a practical way to ward off tariff capping on most sensitive and high tariff products. Regardless of
their scope, special products is likely to bring about far significant benefits than sensitive products.
As for domestic support, Korea may not be bound by the Overall Trade Distorting Subsidies (OTDS). But, the reduction obligation of the Aggregate Measurement of Support (AMS), de minimis and Blue Box would restrain policy flexibilities in the future. Special and differential treatment for developing countries are envisaged to ensure gradual policy reform.
Monte Carlo simulations are utilized to forecast possible outcomes of modalities. Korea's average tariff rate (currently 63%) is forecast at 35% under a developing country status. The total AMS is expected to fall from 1.5 to 1.0 trillion won. The de minimis support is likely to be 2.9 trillion won and blue box payments would be capped by 862 billion won. With developed country's commitments, the average tariff rate would be 17%. And the domestic support is forecasted at 759 billion won for the total AMS, 1.1 trillion won for de minimis, and 867 billion won for Blue Box.
To fully take advantage of developing country's status, Korea should pay attention to the securement of enough number of tariff lines as special products. In addition, tariff capping must be abrogated. If inevitable, tariff capping should not apply neither to sensitive products nor to special products.
As shown in the sensitivity analysis, the OTDS support would be greatly influenced by a permitted level of de minimis support. Hence, any cuts in de minimis support must be minimized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OTDS support and policy flexibilities.
Researchers: Song Soo Lim, Sang Hyun Kim, So Yeong Lim
E-mail address: songsoo@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6413
-
좋아요0
-
다운로드7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FTA·DDA협상 이후의 과수산업 발전전략
- 이전글
- 청과물 가격 변동의 시계열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