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업인 교육· 훈련 담당자의 전문성 제고방안

목차
1. 서론
2. 농업인 교육 훈련 담당자 전문성 관련 과제
3. 농업인 교육 훈련 담당자 전문성 영역
4. 농업인 교육 훈련 담당자 전문성 관련 요구
5. 농업인 교육 훈련 담당자 전문성 제고 방안
6. 요약
요약문
농업인 전문성 제고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정부기관, 농촌진흥기관, 농협지자체, 민간단체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농업인 교육·훈련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훈련기관의 예산이나 시설상의 문제와 더불어 교육훈련 담당자의 전문성 부족으로 그 효과와 관련하여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비록 예산과 시설이 한정되어 있을 지라도 이를 운영하는 사람의 역량에 따라 상황은 많이 달라질 수 있는데, 아직까지 농업인에 대한 교육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만큼, 농업인 교육 훈련 담당자들의 전문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정책적 관심과 재정적 투자는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농업인 교육 훈련담당자들의 전문성 실태를 점검하고, 이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보고서를 통해 농업인 교육 훈련 담당자들은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정부정책과 농업인 교육 훈련기관 방침의 방향 설정에 길잡이로 활용할 수 있고, 농업인의 전문성 제고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ity of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For the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problem about professionality of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identified the roles and competencies consisting of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professionality; analysed the need of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through literature reviews, surveys, interviews, and experts reviews.
The literature reviews on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professionality and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olicies and researches have found that job environment of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was so poor to execute normal education and training process and suggested strategies for supporting them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ty including extending learning opportunitie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on the roles and competenc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tioners, and some modification of them with help of related experts, the specifics of the professionality were identified as follows: 11 roles including administrator, evaluator, education and training manager, material developer, individual career-development advisor, facilitator, marketer, need analyst, organizational change agent, program designer, and researcher; and 32 competencies including technical competencies, business competencies, interpersonal competencies, and intellectual competencies.
Based on survey and interviews on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the needs for professionality development in terms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job supports were analysed as follows: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had educational needs for such roles as program developer, administrator, evaluator, material developer, and researcher rather than education and training manager, marketer, and organizational change agent; they had educational needs for technical competencies rather than intellectual competencies; while they had mental support from institutes, they needed job supports including extended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incentives for education and training job, communication among oth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and expert consulting on their job.
From the abov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ity of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were drawn: ① improv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domain in institute, ② providing well-organized education and training information and materials, ③ supporting training program customized by their career and institute and extending education opportunities including short term study trip abroad and excell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courses, ④ furnishing networking among education and training practitioners, ⑤ subsidizing expert consulting on their education and training, ⑥ improving the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 evaluation criteria to afford incentives to institutes trying to develop their practitioners' professionality, ⑦ expanding funding for institutes including adjusting unit training cost to realistic level, affording subsidy for developing their practitioners, and supporting the practitioners' tuition of various training opportunities, and ⑧preparing institutional fundaments including legalizing the above suggested supports, and installing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supporting institute.
Researchers: Sang-jin Ma, Kyeong-hwan Choi
Research period: 2006. 8 - 2006. 11.
E-mail address: msj@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53806
-
좋아요2
-
다운로드35
같은 분야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 주도 사회서비스 정책의 발전 방안 : 생활돌봄을 중심으로
김정섭2023.11.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김정섭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김정섭2023.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NAFTA 이후 멕시코 농업의 변화 분석
- 이전글
- 농업부문 전망모형 KREI-ASMO 2006 보완 및 운용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