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세계농업 전망모형 Aglink 2006 운용·개발연구 : 브라질 대두 생산이 국내 및 세계 대두시장에 미치는 파급영향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선행연구 검토 및 이 연구의 차별성 2
4. Aglink 모형 개요 3
5. 도입변수명칭 6
제2장 세계 유지류 수급 동향
1. 세계 유지류 수급현황 9
2. 세계 대두 수급현황 12
제3장 브라질 대두 수급 동향
1. 브라질 대두 수급현황 17
2. 브라질 대두 교역현황 20
제4장 브라질 대두 생산변화의 국내 및 세계시장 파급영향
1. 분석 시나리오 설정 23
2. 세계시장 파급영향 25
3. 한국의 대두 수급현황과 브라질 대두 생산변화의 파급영향 33
제5장 브라질 유지류 모듈구조 소개 38
부록1 브라질 모듈 구조 43
부록2 Aglink 2006 주요 국별 모듈 구조
○ 한국모듈 60
○ 중국모듈 64
○ 일본모듈 75
○ 미국모듈 82
요약 95
Abstract 96
표·그림 차례 97
참고문헌 99
요약문
The Aglink model is a dynamic recursive simulation model and a demand- supply partial equilibrium model of the world agricultural sector. The model was developed by the OECD Secretariat in cooperation with member countries in 1993 and has been used to draw up the OECD world agricultural outlook and simulations for various policy analyses.
As this study will be carried out continuously year by year, the final aim is to build a sufficient application capacity to analyze the world agricultural market and to indicate future directions for Korea’s agricultural policies. The major research contents of our report for this year are as follows:
In the 1st chapter, the research background, aims of this study, the review of preceding researches, and a brief explanation of imported variables in the Aglink model are introduced.
In the 2nd chapter, w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and the outlook of the world soybeans and oilseed markets. And in the 3rd chapter, w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soybeans supply and demand and their trade in Brazil.
In the 4th chapter, the researchers evaluated Korea's current issues of the soybean market. And we made possible scenarios in the 2nd and 3rd chapter’s conclusions and assessed the results of each scenario.
In the 5th chapter, we introduced a Brazilian module of Aglink 2006 to elevat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Brazil oilseeds module.
Researchers: Bae-Sung Kim, Young-Su Cho, and Young-Ho Lee
e-mail Address: bbs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1672
-
좋아요0
-
다운로드14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부문 전망모형 KREI-ASMO 2006 보완 및 운용에 관한 연구
- 이전글
- 동북아농정연구포럼 2006 활동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