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농촌사회의 양극화 실태와 정책과제

목차
▷서론
▷양극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
▷농촌사회의 양극화 실태
▷양극화 완화·해소 관련 정책에 대한 검토
▷농촌사회의 양극화 완화 해소를 위한 정책과제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우리나라에서 양극화가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그 속도가 매우 빠르고, 양극화의 여러 측면이 압축적으로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양극화의 심화는 국민적 갈등과 분열의 원인이 되어 경제성장과 사회 발전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양극화 현상을 완화 내지 해소하는 것은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국가적 과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양극화 관련 최근 논의들은 경제활동이나 소득 중심으로만 이루어지고 있어서 양극화 문제를 좀 더 다차원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양극화 관련 선행 연구들은 전국 단위나 산업부문 또는 도농 간 비교 중심으로 이루어져서 농촌사회 내부의 양극화 실태는 제대로 파악되지 못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양극화를 소득뿐만 아니라 고용, 교육, 건강, 주거, 사회 참여를 중심으로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농촌사회 양극화의 실태와 관련 정책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정책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적용한 주요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 통계자료의 분석, 농촌 주민 대상 설문조사 및 심층 면접조사, 전문가협의회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ent bi-polarization of rural society, and to suggest policy tasks to improve the bi-polarization.
서 론
The major research methods include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existing data, field survey, in-depth interview, and so on. The existing data were collected from related 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among 500 rural residents, asking them about their awareness on the bi-polarization of rural society.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 and means and cross-classification tables were used to summarize the data of the field survey.
According to this study, on the whole, the bi-polarization of rural society has deepened. The bi-polarization in income, employment, health, resid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has deepened. But, the bi-polarization in education was alleviated. Major causes of the bi-polarization were the lack of job opportunities, the difference of income and economic ability, and so on.
Major policy tasks to solve the bi-polarization of rural society are as follows: 1)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cessary. 2)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by the type of rural areas. 3) Post and prior measures are necessary. 4) The social safety net for the poor weak hierarchy should be reinforced. 5) Midand long term socioeconomic measures are necessary.
Researchers: Dae Shik Park, Sang Jin Ma, Jae Man Shim
Research Period: 2006. 3 - 2006. 11.
E-mail Address: pds8382@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6635
-
좋아요0
-
다운로드107
같은 분야 보고서
-
농촌공동체 조직 현황과 주민 참여 실태조사 결과
이순미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현장 실증 후보지역 발굴 및 현장 지원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오형은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범사례 심층분석 및 DB 구축
진장익2024.12.30KREI 보고서 -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되는 농어촌 만들기: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
KREI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공동체 활성화 방안
이순미2024.10.30KREI 보고서 -
다채로운 농촌의 삶을 기록하다 : 2024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우수사례집
KREI2024.12.12KREI 보고서 -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종합평가
한이철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촌의 내발적 지역활성화에 관한 한·일 간 비교연구- 지역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 이전글
- 농촌노인의 사회안전망 실태와 개선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