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산촌 지역혁신체계 기반 구축 (2/2차 연도)

목차
▷서론
▷지역혁신체계관련 선행 연구와 분석과제
▷농산촌 지역혁신체계 기반 구축 현황과 지역간 비교
▷사례 분석 : 농산촌의 지역혁신활동
▷사례 분석 : 농산촌의 지역혁신체계
▷농산촌 지역혁신체계 기반 구축을 위한 정책사업 추진과 적용실태
▷농산촌 지역혁신체계 기반 구축을 위한 정책방향과 지원방안
요약문
최근 몇 년 사이에 ‘혁신’이라는 말은 한국 사회의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정부는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많은 정책들을 기획하고 진행하였다. 그러나 농산촌의 지역혁신체계에 대해서는 그 개념, 분석 방법, 정책 방안 등의 측면에서 소홀하게 다룬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농산촌 지역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농산촌 지역혁신체계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현황 분석을 통해 그 구축 방향과 정책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추진되었다.
이 연구의 구체적 목표는 “농산촌 지역혁신”과 “농산촌 지역혁신 체계” 등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농산촌 지역혁신체계의 기반현황 분석 및 지역간 차이를 비교하며, 농산촌 지역혁신사례를 조사·분석한다. 또, 농산촌 지역혁신체계 기반 구축을 위한 정책사업 현황 및 추진 실태를 분석하고, 구축방향과 정책지원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building the infrastructure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RIS) on which the RIS is established and operates, and to seek necessary policy support measures,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RIS.
This study is divided into five parts. In the first part, concepts such as 'innovation of rural regions' and 'RIS of rural regions' are defined. In the second par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RIS of rural regions is analyz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gions is analyzed. In the third part, various innovation cases in rural regions are studied. In the fourth part, the implementation situation of policy projects aimed to build the RIS infrastructure in rural regions are analyzed. In the fifth part, the direction for building the RIS infrastructure and policy support are set forth.
The regional innovation of rural regions can be defined as "the collection of group activities organized to make new attempts for regional problem resolution and value enhancement." However, there are regional gaps in infrastructure where the RIS can operate both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Cities ["Si" in Korean] have relatively sounder RIS infrastructure compared with counties ["Gun" in Korean]. It was found the areas which have a weak RIS infrastructure are in the most disadvantage in terms of regional development. For the regions whose the infrastructure of regional innovation is feeble, nurturing local talents was found to be the most necessary.
Despite disparity in the infrastructure of regional innovation, various regional innovation activities are taking place. The study and analysis of 22 cases have found 14 types of entities are performing 68 types of activities. Regional innovation activities can be broken down into 'product innovation', 'production process innovation', 'marketing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innovation in other areas (welfare, training, environment).' They will be implemented for 3 to 20 years undergoing status diagnosis, planning, execution, and expansion. In most regional innovation activities, four types of group activities are commonly found including 'shared perception', 'learning', 'organization', and 'regulations and systems.' In particular, network survey and analysis found it is more effective to structure and operate local entity-initiated issue networks to deal with current issues of the region instead of pursuing forced policy network.
Several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to facilitate regional innovation activities in the places with relatively insufficient innovation foundation and contributed to forming the vertical alliance and a social network of stakeholders centered around leading regional industries. Nevertheless, so far the project period has not been sufficient, and the capacity of regional human resources is not enough.
Therefore, to build the RIS infrastructure, 'openness', 'comprehensiveness', and 'sustainability' should be applied as principles. Under the principles, the policy project's implementation period needs to be extended; rich policy menus should be suggested; the regional choices should be expanded; and the scope of participants should be enlarged in the course of executing policy projects. It is also needed to improve the existing new drive projects, forum support projects, regional innovation council, and so on to make sure of their contribution to regional innovation activities. The social infrastructure of rural regions should be strengthened by identifying resources for regional diagnosis, supporting DB building,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legally binding plans by cities and counties, creating region-specific education system, strengthening the capability of public officials of local governments, and building an open network for stimulating NPOs and experts' participation in rural development.
Researchers: Song Mi-Ryung, Park Ju-Young, and Kim Jeong-Seop
Research Period: 2006. 1. - 2006. 11.
E-mail Address: mrso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6543
-
좋아요0
-
다운로드12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법인의 운영실태와 제도개선방안 연구
- 이전글
- 가축질병의 경제적 영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