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가축질병의 경제적 영향 분석

목차
▷서론
▷가축질병의 경제적 영향 분석을 위한 접근방법
▷가축질병의 역학적 특성
▷가축질병의 발생사례와 피해액 추산
▷가축 생장모형을 통한 가축질병의 영향분석
▷가축질병의 후생효과 분석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최근 축산업은 국민소득 증가와 식생활의 서구화로 비약적으로 성장하여 우리 농업에 매우 중요한 부문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광우병, 소 부루세라, 조류 인플루엔자 등 인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축 전염병이 빈번히 발생하여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국제 교역이 점차 증대되고 밀집사육이 보편화됨에 따라 우리나라에도 가축질병의 발생빈도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이 보고서는 늘어나는 가축질병과 관련한 수의역학 자료와 경제적인 분석기법의 결합을 통해 가축질병의 경제적 영향을 계측할 수 있는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해서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Although there are growing economic concerns on livestock diseases, researches on the issue are limited. In this study, we combined data of livestock diseases with an economic method to build an economic analysis model for measuring the economic impact of livestock diseases.
To do so, we developed a spreadsheet model and estimated direct economic losses of individual farms from various livestock diseases.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social welfare changes as a result of shifts in the demand and supply of meat due to serious livestock diseases.
Using the spreadsheet model, the study found that cattle growers' losses can vary from 500 million won to 67 billion won. Also, the losses of pig and poultry farms are estimated at up to 53 billion and 800 million won each, respectively. The livestock life cycle model, which was developed in the study, estimated disease specific economic losses of farms. For example, the economic losses a livestock farm can suffer from PMWS (Post-Weaning Multisystemic Wasting Syndrome) and calf diarrhea are estimated at 18 million won and 28 million won, respectively.
The social welfare analysis shows that the outbreaks of mad cow disease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or BSE) in the U.S. and domestic avian influenza (AI) and bovine brucellosis reduce social welfare by up to 385 billion won, 333 billion won, and 342 billion won, respectively.
The model developed in the study and the analysis results can be utilized for individual farmers, policy makers, and other researchers on the issues of estimating the economic loss from livestock diseases and of formulating disease prevention policies.
Researchers: Song, Joo-Ho, Byung-Joon Woo, Duk Huh, Sun-il Park
E-mail address: jhso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3353
-
좋아요2
-
다운로드308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산촌 지역혁신체계 기반 구축 (2/2차 연도)
- 이전글
- 식품수급표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