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하동군 녹차산업 혁신클러스터 육성방안

목차
[발주처: 하동군농업기술센터]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2. 선행 연구검토 2
3. 연구범위와 연구내용 3
제2장 농산업혁신클러스터의 이론적 검토
1. 농산업혁신클러스터의 개념과 의의 5
2. 농산업클러스터의 구성요소와 지원체계 7
3. 농산업클러스터의 발전조건 9
제3장 하동녹차 클러스터 환경 분석
1. 자연환경 11
2. 역사·문화적 환경 12
3. 산업·경제적 위치 14
제4장 하동녹차산업 혁신역량 분석
1. 산업 부문별 현황과 문제점 17
2. 현지 전문가의 지역혁신 역량 강화에 대한 의견 23
3. 하동군 종합발전계획상의 하동녹차 관련계획 31
제5장 하동녹차클러스터의 발전전략 추진계획
1. 하동녹차의 SWOT분석 41
2. 하동녹차의 비전구상과 전략 45
제6장 하동녹차 혁신클러스터 육성 세부추진계획
1. 세부추진사업의 내용 55
2. 단계별 추진계획 68
참고문헌 75
부록 1. 하동군 녹차산업 혁신클러스터 육성계획 수립을 위한 개발수요조사표 76
부록 2. 녹차 특허 동향 실태 81
부록 3. 녹차 생산이력추적시스템 개요 87
부록 4. 녹차 품질평가 개요 92
부록 5. 일본 녹차 표시기준 96
부록 6. 각국 농약잔류 기준 125
부록 7. CHADO TEA ROOM TEA LIST(GREEN TEA) 136
요약문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actively deal with government- driven "Regional Agriculture Cluster Policy" and the changing environment surrounding the green tea industry, which the specialized industry of Hadong- gun, and to develop strategies and action plans for an innovative green tea industrial cluster to strengthen the industry's competitivenes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Hadong-gun is best suited for creating the innovative green tea industry cluster in terms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urroundings, and the industrial and economic environment. However, the survey results of local experts on the regional capability of innovation show that the region lags behind in several areas, such as supporting industries by sector and the innovative capability of the "development council" and farmers.
Meanwhile, in order to accelerate innovation of other industries, development projects linked to eco-friendly tea cultivation, the modernization of processing facilities, and green tourism should be given top priorities.
The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Hadong Green Tea Industrial Cluster to enhance its competitiveness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produce top quality tea products. To this end, it is essential to develop unique Hadong green tea products with top quality, establish a distinguished tea brand, set up a quality control system covering the entire processes from production to distribution, and put the brand promotion system in place.
Second, the industrialization strategy to turn Hadong into a hub of green tea-related technology should be initiated. For example, Hadong Green Tea Research Center should be established.
Third, the strategy to build the green tea industry complex should be able to vitalize green tourism as well based on the local tourism and cultural resources.
Fourth, the above-mentioned strategies can be implemented in three stages, such as laying groundwork, specialization, and maturing. In the stage of laying groundwork, offering intensive education, establishing pertinent network, setting a stage for prod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cessing, distribution, public relations and green tourism, and developing a premium Hadong green tea with its brand can be pursued. In the stage of specialization, it is necessary to form a Green Tea Bio-Tech Industrial Cluster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dustrialization of Hadong green tea and to push ahead with various programs which will strengthen the industrial foundation. In the last maturing stage, the globalization of the Hadong tea industry should be pursued by creating a Green Tea Well-being Valley in main cultivation areas, such as Hwagae and Akyang.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0487
-
좋아요0
-
다운로드88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용수관리 일원화 방안 연구
- 이전글
- 진천군 농업·농촌발전계획 수립연구 (2006 -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