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진천군 농업·농촌발전계획 수립연구 (2006 - 2015)

목차
요 약
서 장 계획수립의 개요 1
1. 계획 수립의 배경과 필요성 1
2. 연구목적 2
3. 연구의 범위 3
4. 연구방법 3
5. 연구 추진 일정 5
6. 연구 추진 체계 6
제Ⅰ편 진천군 농업·농촌 발전 구상
제 1 장 계획수립의 전제 9
제1절 관련 계획 검토 9
제2절 국내외 농업·농촌의 여건 변화와 전망 14
제 2 장 진천군의 농업·농촌 현황과 특징 25
제1절 진천군의 일반 현황 25
제2절 진천군 농업·농촌의 특성 31
제3절 진천군 농업·농촌의 SWOT 분석 39
제 3 장 진천군 농업ㆍ농촌 비전과 미래상 41
제1절 진천군 농업·농촌의 비전과 추진전략 41
제2절 비전 달성을 위한 과제 43
제3절 농업개발권역 설정 44
제4절 진천군 농업·농촌의 미래상 46
제5절 2015년 진천농업 발전지표 48
제Ⅱ편 진천군 부문별 발전계획
제 4 장 진천군 원예특작부문 현황과 과제 51
제1절 품목별 생산현황 51
제2절 지역별 생산현황 58
제3절 원예산업 발전전략과 투융자계획 61
제 5 장 진천 축산의 고부가가치 정예화 64
제1절 진천군 축산의 특징 64
제2절 진천 한우산업의 육성 65
제3절 진천 양돈산업의 바이오 클러스터화 74
제4절 진천 사슴산업의 육성 86
제5절 진천군 축산부문 투융자계획 93
제 6 장 친환경농업 인프라 구축과 확산 95
제1절 국내외 농업의 여건변화 95
제2절 진천군의 친환경농업 진단 99
제3절 진천군의 친환경농업 관련 사업 및 실적 103
제4절 진천군 친환경농업의 SWOT 분석 및 비전 106
제5절 진천군의 친환경농업의 발전방향과 전략 107
제6절 진천군 친환경농업의 투융자 계획 127
제 7 장 농산물 유통개선과 가공?수출 촉진 129
제1절 농산물 산지유통 개선 129
제2절 농산물 수출촉진 152
제 8 장 바이오농산업 육성 계획 156
제1절 바이오농산업의 개념 156
제2절 바이오농산업의 전망과 국내 여건 157
제3절 진천군의 바이오농산업 육성 여건 160
제4절 진천군의 바이오농산업 육성 목표 및 핵심 전략 164
제5절 주요 전략 사업 167
제6절 투융자계획 173
제 9 장 농업인력 육성 174
제1절 현황 여건 및 전망 174
제2절 발전 목표 및 전략 176
제3절 추진사업 및 투융자 계획 177
제 10 장 쾌적하고 살기 좋은 진천 가꾸기 181
제1절 농촌생활환경의 여건 변화 181
제2절 진천군 생활환경 현황 184
제3절 진천군 농촌생활환경 개선 전략 193
제4절 주요 추진사업 195
제5절 투융자계획 204
제 11 장 농촌관광 및 도농교류 활성화 205
제1절 농촌관광의 여건과 비전 205
제2절 진천군 농촌관광의 현실과 과제 208
제3절 진천군의 농촌관광의 추진 목표 및 발전 전략 218
제4절 주요 추진사업 220
제5절 투융자계획 235
제Ⅲ편 농림부문 투융자 계획
제 12 장 투융자 계획 수립 239
제1절 진천군 재정분석 및 평가 239
제2절 농업·농촌 투융자 분석 241
제3절 계획의 추진체계 248
ABSTRACT 251
참고문헌 253
부 록
1. 생거진천 쌀 명품화 전략 257
2. 양평군 친환경농업21의 성공요인 273
3. 진천군 농업·농촌발전계획 개발수요조사 279
4. 외국의 농업·농촌개발 우수사례 현지조사 297
요약문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9720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현장 중심의 농촌재생 모델 개발 실증연구(2/5차년도)
성주인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지역사회에서 청년의 역할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 구상
강마야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한이철2024.12.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현장에서 찾은 농촌재생 – 농촌재생 모범사례 10선
심재헌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사례 DB 구축 및 농촌재생 적용사례 대상 모니터링 및 분석·평가 방법론 개발
진장익2023.12.30KREI 보고서 -
농촌재생 모델의 현장 실증을 위한 리빙랩 방법론 및 도구 개발 연구
오형은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4/10차년도)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2023년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결과
송미령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하동군 녹차산업 혁신클러스터 육성방안
- 이전글
- 도시와 농촌의 삶의 질 지수 측정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