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도시와 농촌의 삶의 질 지수 측정방안 연구

2005.12.01 43262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수탁보고서(C2005-43)
  • 저자
    박대식, 마상진; 신은정
  • 등록일
    2005.12.01
  • 연구주제
    농업정책일반.
목차

제 1 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4
3. 연구의 범위와 내용 11
4. 연구방법 12
제 2 장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삶의 질 개념 14
2. 삶의 질 개념에 대한 이론적 관점 17
3. 삶의 질 측정방법 19
4. 삶의 질 지표의 종류 21
5. 삶의 질 지표의 지수화 방법 22
제 3 장 외국 및 국제기관의 삶의 질 지표체계
1. 외국의 삶의 질 지표체계 28
2. 국제기관의 삶의 질 지표체계 32
3. 시사점 36
제 4 장 삶의 질 측정 관련 지표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1. 2004년 지표체계 37
2. 2005년 지표체계 41
제 5 장 삶의 질 지표의 지수화 방안
1. 주관적 지표의 지수화 48
2. 객관적 지표의 지수화 66
제 6 장 삶의 질 지표 및 지수의 중장기적 생산·관리 방안
1. 삶의 질 지표체계의 개선 75
2. 삶의 질 지표 및 지수의 중장기적 생산·관리 방안 82
제 7 장 요약 및 결론 84
부 록 1. 한국의 사회지표의 지표체계 99
부 록 2. 농촌생활지표의 지표체계 114
부 록 3. 제1차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5개년 기본계획 세부추진과제 127
부 록 4. 2004년 삶의 질 실태조사 설문지 131
부 록 5. 2005년 삶의 질 지수 조사 설문지 150
부 록 6. 2005년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전문가 의견조사 설문지 165
참고문헌 179

요약문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indices which can indicate overall quality of life gap between urban residents and rural residents.
The major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were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existing related data, the E-mailed survey, field survey, and other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 mean were used to organize and summarize the data. Factor analysis was used as a major statistical method in the calculation process of weight values. Z-score calculation was used as a major standardization method for different measurement units.
The quality of life indicator system in 2004 consists of 3 fields(rural welfare, rural education, regional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complex industry) and 88 indicators. The quality of life indicator system in 2005 consists of 3 fields(rural welfare, rural education, regional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complex industry) and 77 indicators.
The measurement of urban and rural residents' quality of life indices was divided into two parts: subjective and objective ones. The subjective measurement of urban and rural residents' quality of life indices was developed by using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question items(8 and 19 ones). The weight values of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question items were based on the 40 specialists' opinions. The objective measurement of urban and rural residents' quality of life indices was divided into individual index method and total index method. The total index method was exemplified by using 11 objective quality of life indicators.
The tentative quality of life indicator system in 2009 consists of 3 fields(rural welfare, rural education, regional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complex industry) and 115 indicators.
Researchers: Dae-Shik Park, Sang-Jin Ma, Eun-Jung Shin
E-mail Address: pds8382@krei.re.kr

저자정보
박대식Park, Daeshik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박대식Park, Daeshik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43262
  • 다운로드
    1
다음글
진천군 농업·농촌발전계획 수립연구 (2006 - 2015)
이전글
농산물 표준 운송규격 제정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