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농산물 표준 운송규격 제정방안 연구

목차
제 1 장 연구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제 2 장 표준 운송규격의 중요성과 발전 방향
1. 농산물 물류현황과 운송의 중요성 6
2. 표준 운송규격의 경제적 효과 11
3. 표준 운송규격의 발전 방향 16
제 3 장 농산물 표준규격 및 운송현황과 문제점
1. 농산물 표준규격화 현황 19
2. 농산물 운송실태 23
3. 농산물 운송의 효율성 분석 28
4. 농산물 표준규격 및 운송의 문제점 37
제 4 장 농산물 표준 운송규격의 최적화 방안
1. 농산물 일관운송 표준화의 의의 44
2. 팔레트의 표준화 방안 46
3. 운송용 포장용기의 적정화 방안 49
4. 화물차량의 표준화 방안 54
5. 하역장비의 표준화 방안 60
6. 보관시설의 표준화 방안 62
7. 도매시장 시설 개선 64
제 5 장 농산물 표준 운송규격의 시행 방안
1. 제도적 보완사항 67
2. 행정적 지원 방안 72
부 록 79
참고문헌 91
요약문
The agricultural market in Korea has coped with more opened environment due to the settlement of DDA and FTA bargaining agreement. Also, the issue of logistic efficiency in the sector of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ion from farm to retail outlet is also needed to be reviewed for the better market performance. Further, the total amount of logistic expense associated with ship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has been on the track of increasing trend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small packing volume, non-standardized packing tools and method, manual packing process, information deficiency of retail market trend, and so on.
As the tools of shipping & handling cost reduction, the enhancement of packing and piling up efficiency of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truck would also be important. For the improved cost efficiency of piling up agricultural products, the unused space in the luggage zone of transportation vehicle should be minimized via standardization of packing box size and specification of pallet plate.
We performed the spot field-research linked to the issues of better off standardized size of packing box and shipping pallet based on numerous type of luggage zone of shipping trucks. Further, we tried to contrive new standardized rules and guide of packing & loading specification on the whole process of agricultural products' logistic flow. The focus of our project would be the enhancement of logistic flow and the minimization of shipping & handling cost when handling numerous types of agricultural products from farm to retail outlet.
Mentioning about the research process, first, we contrived new logistic flow system. Second, packaged and processed agricultural products would be more recommended via the rule and regulations: Standardized Formation of Logistic & Packing System. It will induce the better efficiency of logistic system: overall cost re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shipping and handling. Finally, the newly contrived methods will renovate the current logistic infra structure of agricultural products, we wish.
As initial pilot project, we performed a test and evaluation of the transportation efficiency with vegetable with ten items (radish, chinese cabbage, cabbage, potato, sweat potato, carrot, gallic, onion, water mellon, yellow melon) and fruit with five items (apple, pear, peach, hard type sweet persimmon, tangerine). We put the main focus on identifying the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while considering the mentioned items' chief production regions.
In the near future, the standardized logistic & packing system will be more important. Thus, we has investigated the current problems and issues associated with logistic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s. Also, alternative implanted methods and tools with government special aid program are provided for the better off cost efficiency.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0614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도시와 농촌의 삶의 질 지수 측정방안 연구
- 이전글
- 남원시 허브산업 육성계획 수립 연구 - 요약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