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원전 온배수의 상업적 이용을 위한 타당성 조사

목차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2
3. 연구 범위와 방법 3
제2장 온배수의 발생과 시설농업 이용 가능성 5
1. 원전 온배수의 발생과 이용 현황 5
2. 시설농업의 현황과 특성 10
3. 온배수의 시설농업 이용 가능성 15
제3장 외국의 온배수 이용 사례 22
1. 일본의 온배수 이용 사례 22
2. 프랑스의 온배수 이용 사례 31
3. 외국의 온배수 이용에 대한 시사점 38
제4장 원전 주변 지역의 시설농업 도입 가능성 40
1. 영광원전 40
2. 울진원전 42
3. 고리원전 44
4. 월성원전 46
5. 단지조성 가능지역별 요약 48
제5장 온배수 이용 시설농업의 경제성과 전개방향 50
1. 분석모형 50
2. 온배수 이용 시설농업의 투자 타당성 분석 56
3. 온배수 이용 시설농업의 전개 방향 63
제6장 요약 및 결론 67
참고문헌 70
요약문
온배수는 원자력발전소에서 터빈을 돌리고 나온 증기를 다시 물로 만들 때 냉각용으로 사용되는 해수를 말한다. 이 해수는 복수기 전열관을 통과하면서 취수시의 자연해수보다 약 7℃ 상승되어 바다에 배출 된다.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온배수가 해수라는 특성과 배출온도가 낮다는 점에서 온배수를 시설작물에 직접 이용한 사례는 없다.
온배수를 난방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보조장치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개발된 보조장치 중에서는 히트펌프시스템이 이용 가능성이 높고, 일본이나 유럽에서도 널리 사용 중에 있다. 다만 원전 온배수를 이용할 경우 해수의 특성상 부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고성능 자재로 설계해야 하고, 별도의 배관시설이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3,000평 유리온실에서 히트펌프 이용 시 연간 난방비는 52,437천 원, 온수보일러 이용 시는 209,739천 원으로 히트펌프를 이용할 경우 연간 157,302천 원의 난방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히트펌프 이용을 위해서는 배관설치에 711,027천 원, 히트펌프 설치에 248,000천 원 등 총 959,027천 원이 소요된다. 따라서 히트펌프 설치에 따른 투자비는 6.1년이면 회수가 가능하다.
히트펌프를 설치한 유리온실 경영에서 자본회수기간법에 의해 경제성 여부를 판단해 볼 때, 현재의 기대수익으로는 농가가 배관시설까지 투자할 여력은 없다. 영광원전 지역의 경우 온실(히트펌프 포함) 및 배관시설 설치에 50%의 보조를 받은 3,000평 유리 온실에서 장미를 재배할 때, 이자율이 3%일 때는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으나 5%일 때는 불가능하다.
울진의 경우는 같은 조건에서 오이를 재배할 때, 이자율 3%, 5%에서 모두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리에서 장미를 재배할 경우 이자율 3%일 때는 투자비 회수가 가능하고, 5%일 때는 불가능하다. 월성에서 장미를 재배할 때는 이자율 3%, 5%에서 모두 투자비 회수가 불가능하다.
내부투자수익률법에 의한 경제성 여부는 유리온실의 경우 온실 설치에 50%의 보조가 있고, 온배수 이용을 위한 배관시설을 외부에서 무상지원해 줄 때 수익률이 5~7%로 나타나고 있다. 다만 경질판온실의 경우는 같은 조건에서 수익률이 9~12%로 4개 원전지역 모두에서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온배수를 이용한 시설농업의 경제성은 지역 및 작목 선정에 따른 기대수익에도 영향이 있으나 배관시설 설치에 따른 투자비가 더욱 민감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즉 온배수를 이용하기 위한 배관시설 길이가 시설농업의 추진 여부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온배수 이용의 시설투자에 대한 경제성 결과만을 보면 농가단계에서 시설투자는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현재의 고유가 기조하에서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은 강구되어야 한다. 하나의 대안으로 원전 주변 지역 가운데 상대적으로 경제성이 높고, 사업 추진이 용이한 지역을 선정하여 온배수 이용에 대한 시범사업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Seawater is used as thermal effluent of nuclear power plants to cool off nuclear reactors. The temperature of thermal effluent is 7℃ higher than normal seawater. If thermal effluent of nuclear power plants is used to heat greenhouses, farmers might stabilize farm management thanks to production cost re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conomic benefits of using thermal effluent as heating source of greenhouses. It also focuses on looking for economic efficiency and profitability of using thermal effluent by facility type, product and subsidy condition in 4 regions near nuclear power plants.
With the current profit level of glasshouse farming, farmers can't recover their invested capital. If 50% subsidy for production facility and 100% subsidy for pipe facility are provided, and 5% interest rate is applied, farmers can recover their invested capital. In case of rigid-panel house farming, 50% subsidy for production and pipe facilities is necessary to for farmers to recover their invested capital.
If economic efficiency is considered only, farmer's investment in relevant facilities might take place only in a very limited fashion. However, this is an attempt to reduce heating costs in the face of high oil prices. Before applying this measure to wider areas, it is necessary to launch a pilot project in a suitable region near nuclear power plant.
Researchers: Hyun-Tae Park, Chang-Yong Kang, Jong-Yeol Yun
E-mail Address: htpark@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5949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기술과 관련 제품의 수요자 인식 및 구매 의향 조사 결과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탄소중립농업 추진을 위한 바이오투입재 이용활성화 방안
임영아2024.10.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실태와 정책과제
박지연2023.12.31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종합본(2021-2023)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영농형 태양광 도입의 경제성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정학균2023.11.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부문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3/3차년도)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주요국 미세먼지 저감농업 정책
정학균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박문수2023.12.30KREI 보고서 -
데이터 기반 가축전염병 효율적 대응 방안 연구(2/2차년도)
송우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농업기계화 정책 방향과 농기계산업의 발전방향
- 이전글
- 발아현미를 이용한 부가가치 상품 개발과 중국시장 진출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