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중국의 중단립종 쌀 생산·수출 잠재력

목차
제1장 최근 중국의 식량 생산 및 정책 변화
1. 식량 생산 변화 1
2. 식량 정책 변화 3
제2장 중국의 식량 생산에서 쌀의 비중과 그 변화 7
제3장 중국 동북지역의 중단립종 쌀 생산 현황
1. 동북지역의 중단립종 쌀 생산 변화 11
2. 동북지역 중단립종 쌀(조곡)의 생산비 15
3. 동북지역 중단립종 쌀의 가격 18
제4장 동북지역 이외 기타지역의 중단립종 쌀 생산
1. 기타지역의 중단립종 쌀 생산 현황 20
2. 기타지역의 중단립종 쌀 생산 잠재력 22
제5장 동북지역과 기타지역 중단립종 쌀의 품질 및 가격 비교
1. 품질 비교 24
2. 가격 비교 27
제6장 중국 중단립종 쌀의 소비 동향 및 장립종 쌀에 대한 대체
1. 중단립종 쌀의 소비 동향 29
2. 중단립종 쌀의 장립종 쌀에 대한 소비 대체 현상 30
제7장 중국의 중단립종 쌀 수출 현황
1. 쌀 수출 체계 32
2. 수출량과 가격 33
3. 수출시장 34
제8장 중국 동북지역의 중단립종 쌀 생산잠재력 36
제9장 중국 중단립종 쌀의 수출잠재력
1. 중국 중단립종 쌀의 국제경쟁력 44
2. 중국 중단립종 쌀의 수출잠재력 45
참고 문헌 49
요약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ate of rice production and exports in China, especially Japonica type rice, which is expected to make a huge impact on the rice industry in Korea, if it is imported. The study is also aimed at providing fundamental materials and informative data in setting up the rice policies in preparation for future opening of the domestic rice market.
As a main grain production area,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 has proper conditions to produce Japonica type rice. Japonica rice produced in that area is regarded as the most competitive in the international market in terms of price and quality. It has a stronger price competitiveness than the rice of the US and Australia, which are the main rice exporters. Furthermore, recently-introduced policies by the Chinese government, such as agricultural tax cut and further mechanization, have reduced production costs further. Besides, the Japonica type rice produced in the China's northeast, has strong competitiveness in qual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enhanced production and processing technology.
Recently, the Chinese government has made efforts to strengthen the domestic rice supply by supporting grain transportation from the northeast to main cities in the central and southern area. Even though the northeast area has the great production potential of Japonica type rice, currently it is unable to satisfy the increasing domestic demands. In this regard, there is a little possibility that China will export the rice in the near future.
Researchers: Chung Chung-Gil and Li Chenggui
E-mail: cgchung@krei.re.k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ate of rice production and exports in China, especially Japonica type rice, which is expected to make a huge impact on the rice industry in Korea, if it is imported. The study is also aimed at providing fundamental materials and informative data in setting up the rice policies in preparation for future opening of the domestic rice market.
As a main grain production area,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 has proper conditions to produce Japonica type rice. Japonica rice produced in that area is regarded as the most competitive in the international market in terms of price and quality. It has a stronger price competitiveness than the rice of the US and Australia, which are the main rice exporters. Furthermore, recently-introduced policies by the Chinese government, such as agricultural tax cut and further mechanization, have reduced production costs further. Besides, the Japonica type rice produced in the China's northeast, has strong competitiveness in qual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enhanced production and processing technology.
Recently, the Chinese government has made efforts to strengthen the domestic rice supply by supporting grain transportation from the northeast to main cities in the central and southern area. Even though the northeast area has the great production potential of Japonica type rice, currently it is unable to satisfy the increasing domestic demands. In this regard, there is a little possibility that China will export the rice in the near future.
Researchers: Chung Chung-Gil and Li Chenggui
E-mail: cgchung@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6942
-
좋아요0
-
다운로드7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세계 견과류 산업 동향과 시사점
남경수2024.12.30KREI 보고서 -
중국농업전망(2024~2033)
전형진2024.12.30KREI 보고서 -
에콰도르의 농업 및 화훼산업 동향
채상현2024.11.30KREI 보고서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2024.07.22KREI 보고서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
김라이2024.06.21KREI 보고서 -
International Joint Symposium - Rice Seed Certifica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in Africa
KREI2023.12.30KREI 보고서 -
Current Dynamics of Rice Seed Value Chains in Seven African Countries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6차년도) : 아프리카 7개국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향상
차원규2023.12.30KREI 보고서 -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4/5차년도)
최용호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촌정주생활여건의 지역간 실태비교와 개선방향
- 이전글
- 환경친화적 농업자원관리를 위한 농업환경분석과 정책개발 : 워크숍 및 세미나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