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2004년도 연구결과 요약집

목차
1. 농산업경제연구
1. 1 선진국의 식품안전관리체계와 국내도입 방안 3
1. 2 친환경농업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전략과 추진방안(2/2차년도) 6
1. 3 지방농정과 지역농업 성공사례 연구: 성공유형과 요인 9
1. 4 2003년도 식품수급표 14
1. 5 가축사육두수 총량제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16
1. 6 미국 BSE 발생이후 국내 쇠고기 소비 변화 분석 19
1. 7 농업관련산업의 GDP 추계 23
1. 8 중장기 직접지불제 확충방안 연구 25
1. 9 OECD농업환경지표 제출을 위한 설문서 작성 29
1.10 최소 필요열량 기준 자급률 산정 32
1.11 농산물 표시제도 개선 34
1.12 쌀농가 소득안정 방안 연구 38
1.13 북한의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한 남북농기계 지원 및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41
1.14 식량자급률 목표설정 방안 연구: 추진방향과 과제를 중심으로 43
1.15 WTO/DDA 협상타결이 인삼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경쟁력 제고 방안 46
1.16 고려인삼 중장기 수출확대를 위한 전략방안 연구 49
1.17 절임식품류에 대한 국내외 현황조사 분석 52
1.18 시설농업용 폐영농자재의 농가처리실태와 효율적 관리제도 56
1.19 바이오 장기 생산 무균돼지의 경제성 분석(1차년도) 60
1.20 2004 농업인 교육훈련 평가 64
1.21 거창군 농업·농촌 발전계획수립 연구 67
1.22 감귤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시장조사 72
1.23 울산 농수산물 종합유통센터 건설 기본계획 및 관리운영 방안 76
1.24 강서 농산물도매시장 활성화 방안 83
1.25 과실 수급 안정을 위한 소득보전직불제도 연구 87
1.26 농수산부류 거래방법 개선방안 연구 89
1.27 양곡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농협쌀 대응 방안 연구 95
1.28 농업과 연계한 식품산업 지원방안 98
1.29 소비자·생산자·유통업계의 식품안전관련 의식 및 요구사항 조사 103
1.30 농수산물 유통환경의 변화와 가락동 도매시장 유통개선 방안 연구 106
1.31 유통환경 변화에 부응하는 유통교육 발전방안 연구 109
1.32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 청과동 재배치 115
1.33 농수산물 도매시장 운영 활성화 방안 120
1.34 논콩 재배사업 및 콩 수매제도의 발전방안 125
2. 농촌발전연구
2. 1 지역균형발전을 통한 도·농간 소득 격차 완화방안 131
2. 2 농촌지역의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발전에 관한 연구 135
2. 3 농촌·농가인구 및 농업노동력 중장기 전망과 정책과제 139
2. 4 농업·농촌관련 토착자원의 권리보호체계 수립 방안 146
2. 5 농촌 지연산업의 활성화 방안 149
2. 6 지역축제가 농촌지역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151
2. 7 주민참여형 마을개발사업의 평가와 모형 정립 154
2. 8 농촌 노인의 경제활동 및 소득 실태 분석 158
2. 9 농업부문 사회갈등의 실태와 관리방안 연구 : 한·칠레 FTA등의 사례를 중심으로 165
2.10 토지의 공익성과 농지제도의 새로운 방향 171
2.11 신국토구상과 농산촌 혁신체계의 구축 173
2.12 외국 농민단체의 농정참여제도 연구 178
2.13 농촌마을 종합개발 사업 모니터링 추진 방안 181
2.14 농촌 지역개발사업의 체계화 방안 183
2.15 농민주 및 민속주산업 발전 방안과 개발모델 188
2.16 밀양시 농업·농촌발전계획 수립 연구 200
2.17 장성군 농업·농촌발전계획 202
2.18 사유재산피해 지원방안 개선에 관한 연구 205
2.19 농지조성비제도 개선 연구 213
2.20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농업분야) 219
2.21 농업용수 관리체계 개편의 필요성과 정책과제 223
2.22 농산촌 테마관광 종합타운 조성사업 실시계획 228
2.23 바이오 농업단지 조성 타당성 조사 연구 231
2.24 농작물재해보험의 단계별 확대 방안 233
2.25 농어촌 복지·교육·지역개발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 및 실태조사 방안 연구 241
2.26 농지은행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248
3. 농업관측정보
3. 1 농업전망 2005 255
3. 2 농업·농촌 경제동향 분석 263
3. 3 농업관측월보 과채 267
3. 4 농업관측월보 과일 271
3. 5 농업관측월보 채소 274
3. 6 농업관측월보 축산 276
3. 7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279
3. 8 중국 산동성의 주요 채소류 생산, 유통 실태와 변화 전망 282
3. 9 농업관측 품목별 표본농가 재설계 연구 285
3.10 PDA를 활용한 산지정보수집체계 개선사업 287
3.11 농업관측지원정보 시스템(DB) 개선사업 290
3.12 과채류의 작형별 단수함수 추정 295
3.13 소비자패널 표본설계 및 구축 297
3.14 시장개방하의 채소수급안정제도 발전방향 300
3.15 개방화에 대응한 과수산업 발전방안 304
4. 농정연구
4. 1 북한의 농업부문 개혁·개방 정책과 남북협력 309
4. 2 산지유통 혁신전략과 농협의 역할 314
4. 3 농가소득보전 및 소득안전망 확립 방안 318
4. 4 쌀농업의 구조 변화 동향과 전망 322
4. 5 중국의 경제성장과 한국 농업·농촌의 새로운 기회 : 대 중국 농산물 수출확대 방안 324
4. 6 세계농업정보 328
4. 7 KREI 북한농업동향 331
4. 8 The Road Ahead for Korean Agriculture 334
4. 9 세계농업전망모형 Aglink 2004 운용·개발 연구 337
4.10 농업부문 전망모형 KREI-ASMO 2004 운용·개발 연구 340
4.11 금강산관광지구와 연계한 남북한 농업협력 활성화 방안 : 고성남새온실농장 협력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343
4.12 기업농의 가능성과 조건 346
4.13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형성과 발전 방향 348
4.14 동북아농정연구포럼 운영 사업 350
4.15 농협 계통사료 발전방향 및 공동사업 추진방안 352
4.16 농업종합자금 성과평가 355
4.17 WTO 쌀협상에 대비한 TRQ 수입관리 및 국내 유통 방안 358
4.18 산지유통혁신을 위한 공동마케팅조직 발전전략 360
4.19 한·일 FTA 농업부문 협상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365
4.20 한·일 FTA 체결과 임업부문의 정책과제 370
5. 산림정책연구
5. 1 목초액의 한방이용시 경제성분석 및 지원제도 개선 연구 375
5. 2 산림내 폐잔재의 현지 활용을 위한 한국형 조립식탄화장치 기술개발 및 실용화 연구 378
5. 3 2004년 임업관측(밤) 383
5. 4 2004년 임업관측(표고버섯) 385
5. 5 밤의 농작물 재해보험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387
5. 6 우리나라 표고산업의 정책과제와 발전방향 391
5. 7 WTO/DDA 협상에 따른 임산물에 대한 영향분석 397
5. 8 중장기 산림자원육성전략 수립 및 법적·제도적 개선방안 400
6. 자료정보지원
6. 1 농민신문 지면개선을 위한 수탁조사 405
7. 쌀·DDA 농업협상대책연구
7. 1 대만의 쌀시장 개방과 시사점 411
7. 2 TRQ 관리제도의 효율적 개선방향 415
7. 3 2004 쌀 재협상의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417
8. FTA 연구
8. 1 동북아경제협력체 구상과 농업부문의 과제: 동북아경제협력체 창설의 농업부문 파급효과 계측(2/3차년도) 421
8. 2 한·일 FTA 농업부문 파급영향 및 협상전략 424
8. 3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대비한 농업부문 기초연구 426
8. 4 한·칠레 FTA백서 발간 연구 430
8. 5 한·EFTA FTA체결이 농업부문에 미치는 영향 434
9. 농정대책특별연구
9. 1 농업·농촌종합대책 실천방안 연구 441
10. 특별과제
10.1 뉴질랜드의 원예산업 동향과 전망 445
10.2 미국의 오렌지, 포도산업 448
10.3 한·호 쇠고기 시장과 무역 전망 451
10.4 미국의 대외 식량지원 프로그램 : P.L.480의 food for Peace를 중심으로 456
요약문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58466
-
좋아요0
-
다운로드47
같은 분야 보고서
-
연차보고서 2022
KREI2023.05.31KREI 보고서 -
2022 발간 보고서 요약집
KREI2023.01.13KREI 보고서 -
농업사 산고(散稿) II
김영진2022.09.01KREI 보고서 -
2021 발간 보고서 요약집
KREI2022.04.30KREI 보고서
- 다음글
- 친환경농업 발전을 위한 대토론회 자료집
- 이전글
- 농민주 및 민속주산업 발전방안과 개발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