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소비자패널 표본설계 및 구축

목차
제 1 장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 목적 2
2. 연구 범위와 방법 3
2.1. 연구범위 3
2.2. 연구방법 4
3. 선행연구 및 사례 4
3.1. 소비자조사의 필요성 제시 4
3.2. 패널설계 6
3.3. 패널조사 사례 8
제 2 장 패널조사의 의의 12
1. 일반 조사연구 12
1.1. 조사연구의 의의 12
1.2. 조사연구의 목적 13
1.3. 조사연구의 장단점 14
2. 패널 조사연구 15
2.1. 패널조사 연구의 의의 15
2.2. 패널조사 연구의 특성 16
2.3. 패널의 유형 17
2.4. 패널조사의 장단점 18
제 3 장 소비자패널 표본설계 및 구축 20
1. 패널구축 경로 20
2. 표본설계 22
2.1. 모집단 정의 및 표본추출틀 22
2.2. 층화변수 선정 23
2.3. 표본추출 26
3. 패널 구축 30
3.1. 패널구축 항목 30
3.2. 항목 특성별 분포 31
제 4 장 소비자패널 관리 및 운영방안 37
1. 패널의 관리 및 운영 37
1.1. 패널관리의 중요성 37
1.2. 응답률 제고 방안 38
1.3. 패널 결원 보충 방안 39
1.4. 패널관리 전담인력 40
2. 조사 관리 41
2.1. 조사 방법 41
2.2. 조사방법 활용 43
2.3. 조사사례비 지급 44
제 5 장 소비자 조사 및 활용방안 46
1. 관측내용 주요 현황 46
1.1. 생산 및 공급 측면 46
1.2. 소비 측면 50
2. 소비자조사 관측월보(분기보) 활용사례 52
2.1. 소비자 조사개황 52
2.2. 조사결과 활용 53
3. 향후 조사 및 활용 방향 63
3.1. 조사 체계 63
3.2. 조사 횟수 및 시기 64
3.3. 조사내용 64
3.3. 조사결과 활용방향 72
제 6 장 요약 및 결론 76
참고문헌 86
ABSTRACT 88
부록 1. 소비자패널 지역별, 동별 가구수 분포 91
부록 2. 소비자패널 합의서 양식 98
부록 3. 농업관측 품목별 소비자 조사표(안) 101
요약문
요 약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최근에 농축산물 유통 환경과 소비자의 구매패턴 및 선호가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수요부문의 이동이 농축산물의 수급 및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따라서 현재의 공급측면만을 고려한 관측정보 생산 체계를 소비자의 수요측면을 반영한 관측정보 생산 체계로 개선한다면 수급 및 가격 전망의 편의성 및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농축산물 소비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정보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패널을 구축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함.
? 연구 목적은 첫째, 도시가계의 농축산물 소비행태를 대표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표본을 설계하여 구축하고, 둘째, 구축된 소비자패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셋째, 소비자패널 조사 및 활용방향을 모색하는 것임.
2. 연구 범위와 방법
? 패널 인원은 수도권과 광역시 소비자를 대상으로 1,000명 내외 수준에서 선정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소비자조사 대상 품목은 현재 농업관측월보(분기보)를 발간하는 27개 품목을 기본으로 하며, 국내 수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입 농축산물을 포함함.
? 연구방법으로 소비자패널 표본설계 및 패널 구축은 전문가에게 의뢰하였고, 소비자패널 관리 및 운영방안 모색은 타 기관의 운영 및 관리사례 분석 및 전문가 자문을 받아 수행되었음. 소비자패널 조사 및 활용방향은 소비자 조사결과의 농업관측월보(분기보) 반영 시도, 품목별 예비조사표 작성, 품목담당자들이 참여하는 토론회 등을 통하여 모색하였음.
We need to construct consumer panel and to accumulate enough information from the panel. From this panel we expect to draw an objective and rational information on urban household's consumer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onsumer panel which are represent urban households' consumption behaviors on agricultural commodities. It is considered to run the panel's management more efficiently and to conduct survey more appropriately.
A total of 1,313 consumer panels are select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panels are collected to make data base and are included:
1) panel's ID, address, name, age, occupation, income, telephone number, educational attainment
2) e-mail address if possible
3) number of household member
4) types of house
5) recruiting pattern
In the panel management and running part, the importance of the panel management, how to improve the response rate, how to fill up vacancy of panel, the hiring of full-time panel manager are suggested.
In the survey method process, survey period and interval, number of times of the survey, main survey items, survey contents and supplementary explanations are given.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analyzed and served the following three main objectives; 1) monthly outlook 2) annual agricultural outlook 3) research tool when the consumption trend is rapid change.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53635
-
좋아요3
-
다운로드110
같은 분야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한국의 인구변동 추이와 특징 : 식품시장 파급효과의 측면
이상림2024.12.30KREI 보고서 -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분야 순환경제 이행 지표 및 환경적 효과 평가 방안 연구
주문솔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채식 식품산업의 실태와 성장산업화 전략
박기환2024.10.30KREI 보고서 -
2023 농소모 활동보고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소비 트렌드 모니터)
이계임2023.12.30KREI 보고서 -
2023 식품소비행태조사 통계보고서
이계임2023.12.30KREI 보고서 -
2023 식품소비행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이계임2023.12.30KREI 보고서 -
식품수급표 2022
홍연아2023.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금강산관광지구와 연계한 남북한 농업협력 활성화 방안 : 고성남새온실농장 협력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이전글
- 농산물 표시제도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