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울산 농수산물 종합유통센타 건설 기본계획 및 운영방안 연구

목차
연구결과 요약 1
제1장 연구개요 69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69
가. 연구의 필요성 69
나. 연구목적 70
2. 연구의 기본방향 70
3. 선행연구 검토 72
4. 연구내용 73
제2장 농수산물 유통체계 및 도소매업 실태와 전망 75
1. 농수산물 유통환경 변화 및 유통정책 75
가.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75
나. 농산물 유통정책 83
2. 농수산물 유통체계 및 농식품 도소매업 86
가. 농수산물 유통체계 현황 86
나. 농식품도소매업 현황 93
다. 식품유통업태 동향 및 전망 98
3. 농수산물 유통체계의 변화전망 106
제3장 유통권역의 생산 및 유통현황과 특성 108
1. 농수산업구조와 특성 및 문제점 108
가. 농업생산 현황 및 특성 108
나. 축산업 현황과 특성 111
다. 수산업 현황 및 특성 112
라. 울산시 농수산물 수출동향과 문제점 114
마. 울산 농산물 브랜드화 현황 및 문제점 119
바. 농업 생산자단체 및 조직화의 현황과 문제점 122
2. 울산시 농수산물 유통체계 현황 및 특성 123
가. 산지유통체계 및 유통시설 123
나. 도매유통체계 및 유통시설 127
다. 소매유통체계 및 유통시설 132
제4장 종합유통센터 건설·운영의 기본계획 137
1. 종합유통센터 건설의 필요성과 운영계획 기본방향 137
가. 종합유통센터 건설의 필요성 137
나. 종합유통센터 운영계획 수립의 기본 방향 138
다. 종합유통센터 건설 관련 도매유통체계 개선방안 139
2. 종합유통센터의 기능과 컨셉설정 140
가. 종합유통센터의 개념과 기능 140
나. 울산 종합유통센터 컨셉 146
3. 종합유통센터 업태와 기능 및 사업형태 147
가. 도소매 종합물류기능 147
나. 수출물류 및 정보센터 기능 152
다. 디지털유통의 대응 기능(전자상거래 기능) 153
라. 종합상품화 기능 155
마. 공적 및 보조적 기능 156
4. 유통권역 설정 및 대상업체 선정 157
가. 유통권역(목표시장권) 설정 157
나. 대상업체 158
5. 종합유통센터 운영주체 선정 159
가. 사업주체 및 지원내역 159
나. 운영주체 선정 및 운영형태 162
6. 종합유통센터의 환경분석 167
가. 식품 도매업의 규모전망 167
나. 식품 도매업의 SWOT 분석 170
7. 종합유통센터 개설 준비사업반 설치·운영 172
가. 개설 준비사업반(가칭) 설치·운영 172
나. 단계별 추진사항 173
제5장 종합유통센터의 거래량 및 시설규모 175
1. 취급물량 추정 175
가. 농수산물 1인당 소비량 175
나. 권역별 시설이용 인구 및 수요량 추정 176
다. 종합유통센타 예상 취급물량 178
2. 적정 시설규모 산정 181
가. 제1안 181
나. 제2안 184
다. 제3안 186
라. 대안별 비교검토 188
마. 사업비 추정 191
3. 운영조직과 운영인력 191
제6장 종합유통센터 사업전개 방향 193
1. 산지의 농산물 출하실태 193
2. 구매선 확보방안 198
가. 청과물 198
나. 축산물 206
다. 곡물 207
라. 수산물 208
3. 판로개척 및 사업전개 방안 210
가. 판로개척 및 도매물류사업의 강화 210
나. 단계별 사업전개 방안 212
4. 물류계획 215
가. 수·배송 215
나. 하역 215
다. 보관·저장 216
라. 가공·소포장 216
마. 정보시스템 216
제7장 유통권역의 소매업체, 소비자 및 출하자 조사 분석 218
1. 소매업체 조사 분석 218
가. 개요 218
나. 판매실태 219
다. 구매실태 220
라. 농수산물 종합유통센터에 대한 소매업체 수요 분석 223
2. 소비자 조사 분석 227
가. 개요 227
나. 구매형태 229
다. 농수산물 종합유통센터에 대한 소비자 수요 분석 232
3. 출하자 조사 분석 235
가. 개요 235
나. 출하실태 236
다. 농수산물 종합유통센터에 대한 출하자 수요 분석 238
제8장 종합유통센터 건설 재무적 타당성 분석 243
1. 분석의 목적 243
2. 분석방법 및 기준 244
가. 분석방법 244
나. 분석기준 245
3. 분석결과 247
가. 투자수익율 247
나. 감응도분석 251
제9장 기존업체 및 외국업체 분석 252
1. 기존 종합유통센터 252
가. 종합유통센터 운영 현황 및 성과 252
나. 문제점과 과제 257
2. 오사카農産物集配센터(大阪生鮮食品集配センタ-) 258
가. 설립배경 및 현황 258
나. 집배센터의 기능과 운영실태 260
다. 주요 시설 특성 262
제10장 울산 농수산물 종합 유통센터 건설기본계획 설계 설명서 266
1. 사업개요 266
가. 설계개요 266
나. 면적개요 267
다. 시설별 면적개요 267
라. 사업 목적 268
마. 계획 개념 269
바. 계획진행과정 270
사. 공사 예정 공정표 271
2. 사전조사 272
가. 위치 및 교통 분석 272
나. 토지이용현황 273
다. 자연환경분석 273
라. 기상·기후 274
마. 지 형 274
바. 관련법규검토 275
사. 사례조사(국내) 277
아. 사례조사(국외) 278
3. 건축계획 279
가. 단지 계획 279
나. 평면 285
다. 입면 286
마. 단면계획 286
라. 편의시설계획 286
바. 친환경 계획 287
사. 마감재 검토 288
아. 추정사업비 299
4. 유통 및 물류계획 300
가. 계획의 목표 및 방향 300
나. 시설계획 301
다. 물류시스템 계획 303
라. 전산·정보 시스템 계획 306
5. 건축구조계획 308
가. 구조설계 및 적용기준 308
나. 사용재료 및 설계기준강도 308
다. 설계하중 309
라. 구조안전 검토 시 주의사항 312
6. 기계설비 계획 312
가. 기본방향 312
나. 공기조화 및 환기설비 313
다. 위생설비 314
라. 자동제어설비 314
마. 소화설비 315
바. 농산물 동해방지 대책 315
사. 냉동 및 저온저장설비의 자동제어 계획 316
아. 에너지 절감 계획 317
자. 각종 시스템별 비교 318
7. 전기설비 계획 324
가. 기본계획 목표 324
나. 전기설비의 종류 325
다. 전기설비계획 326
8. 정보통신설비 계획 336
가. 기본계획 목표 336
나. 일반사항 337
다. 정보통신설비의 종류 337
라. 설비별 세부사항 337
9. 소방설비계획 341
가. 소방설계의 목적 341
나. 관계법규 및 기준 342
다. 종합방재설비 구성도 342
라. 소화설비의 관련법규 검토 사항 343
마. 기계분야 소방 설비 344
바. 전기분야 소방 설비 348
10. 토목계획 349
가. 계획 개요 349
나. 토목계획 350
11. 조경계획 368
가. 계획개요 368
나. 조경계획 369
다. 시설물계획 370
라. 포장계획 370
12. 환경계획 371
가. 계획개요 371
나. 건설단계 환경오염방지 계획 371
다. 운영단계 환경오염방지 계획 372
라. 친환경 시설계획 373
요약문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42026
-
좋아요0
-
다운로드0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수산부류 거래방법 개선방안 연구
- 이전글
- 농산어촌 복지·교육·지역개발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 및 실태조사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