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농업기술개발투자의 성과분석

목차
제1장 연구 개요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3. 선행 연구 4
4. 주요 연구 내용 9
5. 연구 방법 10
제2장 생산성 계측을 위한 이론 모형
1. 생산성 계측과 관련된 주요 개념 11
2. 분석을 위한 이용 자료 20
제3장 생산성 변화와 기술 개발투자수익률의 계측
1. 거리함수의 계측 23
2. 쌀산업의 맘퀴스트 생산성지수 24
3. 쌀산업의 생산성변화와 기술 개발투자와의 관계 29
제4장 요약 및 결론 36
부록 41
ABSTRACT 42
참고문헌 43
이 연구는 농업기술개발투자의 성과를 실증적으로 계측하고 실증적 계측의 결과가 가지는 정책적 의미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 연구이다. 농업기술개발투자의 성과를 분석하는 사례로 쌀산업을 선정하였는데 이는 시계열적으로나 횡단면적으로 투입과 산출자료가 잘 갖추어져 있고 농업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비모수적 맘퀴스트 생산성지수 계측을 통하여 쌀산업의 생산성 변화를 계측하고, 둘째 쌀산업의 생산성 변화 요인을 규명하며, 셋째 쌀 기술 개발투자가 쌀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계측함으로써 쌀 기술 개발투자의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한 연구 방법은 DEA 방법과 맘퀴스트 생산성지수 계측방법 등이다. 그리고 쌀산업의 생산성을 계측하기 위하여 이용한 통계자료는 농림부의 쌀 생산비 조사 자료(2003)이다. 분석기간은 1998년부터 2002년까지 5개년이었다. 산출자료로 쌀이란 단일 산출물을 사용하였으며, 투입요소로는 토지비용, 노동비용, 자본비용, 농구비, 비료비, 농약비, 기타 비용 등 7개 비용항목을 선정하였다.
주요 계측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 기간인 1998년부터 2002년까지의 5년간 우리나라 쌀산업의 기술효율성 평균이 0.999로 계측되었다. 규모별로 2.0ha- 2.5ha 미만이 1.004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낸 규모이었다.
둘째, 표본 기간에 쌀 생산성의 연평균 성장률은 4.4%로 계측되었으며 이를 기술효율성의 변화와 기술수준의 변화로 분해해 보면, 생산성의 연평균 성장률 4.4%에 기술 효율성이 0.1%, 기술수준의 변화가 4.3% 기여한 것으로 계측되었다.
셋째, 기술효율성의 변화는 순수효율성의 변화와 규모효율성의 변화로 분해할 때, 표본 기간 순수효율성의 변화율은 변화하지 않았으며, 규모별 차이는 거의 없고, 2.0ha~2.5ha 규모에서 순수 효율성이 0.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쌀 기술 개발투자의 수익률을 구한 결과 쌀 기술 개발투자의 내부 수익률이 31.5%로 계측되었다.
요약문
The Performance of Agricultural R&D in the Rice Industry
Many previous studies show that agricultural R&D is the most important source for improv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agricultural growth. However, many countries have made proper investment for their agricultural R&D because of low rate of return on agricultural R&D. In Korea,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expenditure for agricultural R&D to that of national R&D has decreased from 3.4% in 1995 to 2.5% in 2000.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hange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Korea's rice industry by using the non-parametric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to find out specific reasons of affecting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the rice industry, an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agricultural R&D in the rice industry.
The DEA method and non-parametric Malmquist productivity method were applied to estimate the change in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the rice industry.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has some advantages in estimating the change in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such as the deriva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without price data, the assumption of inefficiency of rice producers, the transformation of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change into technical efficiency and technical innovation, and the easy application of multi-inputs and multi-outputs.
The data on rice production cost published by the MAF were used. The sample period is 5 years from 1998 to 2002.
The technical efficiency of the rice industry during the sample period is estimated at 0.999 which shows highly efficient production. The annual growth rate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the rice industry during the sample period was 4.4% which is divided into 4.3% of the change in the technical progress and 0.1% of the change in technical efficiency.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the rice industry and the expenditure for rice R&D was investigated by the regression analysis. The internal rate of return on rice R&D was estimated it 31.5%.
Researchers: Kim Yong-Taek
E-mail Address: yongkim@krei.re.kr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35470
-
좋아요0
-
다운로드21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서대석2023.09.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지은행 기능 및 농지신탁제도에 관한 연구
- 이전글
- 표고버섯 산업의 동향과 관측사업 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