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연구보고서
Agriculture in Korea

목차
Contents
Preface
Chapter1 Agricultural Situation
1.
Natural Environment and Population
2.
Agricultural Resources
3.
Agricultural Human Resources
4.
Economic Development and Agriculture
Chapter 2 Agricultural Economy
1.
Agricultural Production
2.
Farm Economy
3.
Agricultural Marketing
4.
International Trade
5.
Farmers'' Cooperative Organizations
Chapter 3 Commodities
1.
Grains
2.
Livestock
3.
Horticulture
4.
Forestry
Chapter 4 Rural Development
1.
Rural Development
2.
Rural Social Welfare
Chapter 5 Agricultural Policy Reform
1.
History of Agricultural Administration
2.Implication
of the Uruguay Round Agreement on Agriculture
3.
Major Agricultural Policy Reform
Chapter 6 Agriculture in the 21st Century
1.
Prospect and Vision of Agricultural Policies
2.
Agricultural Restructuring Focused on Family Farm
3.
Sustainable Agriculture
4.
Food Security
5.
Agricultural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6.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griculture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농업의 현황과 발전, 그리고 농업정책의 역할을 외국인에게 소개하는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WTO체제의 강화, 농업부문의 강도 높은 구조개선 등 국내외 환경변화 속에서 한국농업이 어떻게 대응하며 발전해 왔는지, 분야별 전문가의 시각에서 진단하고 있다.
먼저 한국의 자연환경과 자원 현황을 소개하고 경제발전 과정에서 농업부문이 기여한 바를 밝혔다. 이와 더불어 농업생산과 농가경제에 관해 전반적으로 분석했고,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농산물 유통체계와 국제무역, 그리고 농업협동조합에 관해 살펴보았다. 곡물, 축산물, 원예, 산림 등 품목 중심으로 수급현황과 관련 정책에 관해 심층 있게 분석했으며, 관심이 늘고 있는 농촌개발과 복지부문도 자세히 다루었다. 또한 역사적인 흐름과 UR 농업협정 이행과정 속에서 진행되어온 농업정책과 그 개혁 내용과 성과를 담았다. 끝으로, 21세기를 맞는 한국농업의 비전을 제시했는데, 농업정책, 가족농, 지속 가능한 농업, 식량안보, 남북 농업협력, 국제협력 등이다.
요약문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66736
-
좋아요0
-
다운로드9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심재헌2024.10.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업전망시뮬레이션모형
- 이전글
- 쇠고기 수입과 한우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