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보도자료

2024년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 개최

2024.12.13
942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카테고리
보도
작성자
홍보팀

KREI, ‘2024년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 개최

“온라인 식품 및 즉석조리간편식 구매 가구 전년 대비 증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한두봉, 이하 KREI)은 12월 13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2024년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를 개최했다.

  ㅇ KREI는 2013년부터 매년 전국 규모의 식품소비행태조사를 통해 우리 국민의 식품소비행태와 식생활 및 식품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해 발표하고 있다.


식품소비행태조사 분석 결과, ‘식료품을 주로 온라인에서 구입한다’는 응답은 9.7%로 전년(4.1%)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ㅇ 가구 내 식품 주 구입자는 온라인 식품구입 채널 선정 시 배송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가장 중시했으며, 다음으로 전반적인 가격수준을 고려한다고 밝혔다. 다만, 온라인 채널 선정 시 가격 수준을 1순위로 고려한다는 응답은 2020년 대비 약 10%p 증가했다. 연구진은 소비자들이 신속성과 편리성을 중시하면서도, 고물가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가격 요인 역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ㅇ 또한 새벽배송을 주 1회 이상 이용하는 비율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과거에는 신선함을 위해 새벽배송을 이용한다는 응답이 많았으나, 2024년에는 아침 일찍 받기 위해 이용한다는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ㅇ 온라인으로 구입하는 품목이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온라인으로 물 또는 가공식품을 주로 구입한 가구는 절반 수준이며, 곡류 구입은 41%, 과일 구입은 약 30% 수준까지 확대되었다


가정식이 줄어드는 반면, 간편식 소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ㅇ 즉석섭취식품과 즉석조리식품을 주 1회 이상 구입하는 가구 비율이 증가했다. 즉석섭취식품을 주 1회 이상 구입하는 가구는 2021년 15.3%에서 2024년 22.1%로, 즉석조리식품 주 1회 이상 구입 가구는 같은 기간 16.2%에서 25.7%로 증가했다.

  ㅇ 즉석식품 시장이 성숙 단계에 돌입하면서 간편식을 먹는 주된 이유도 변화했다. 재료를 사서 조리하는 것보다 비용이 더 적게 들기 때문에 간편식을 먹는다는 가구는 36.3%로, 2018년 17.8%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한편 조리하기 번거롭고 귀찮아서 간편식을 먹는다는 가구 비율은 2018년 24.9%로 높았으나 2024년에는 17.8%로 낮아졌다.

  ㅇ 간편식을 먹지 않는 이유를 응답한 가구 중 35.1%는 ‘가격이 비싸서’라고 밝혀, 경제적 요인이 간편식 이용 여부에 대해서도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식생활 변화로 가구의 쌀 구입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아침과 저녁을 거르는 횟수가 증가했다. 아침을 거른 횟수는 2021년 1.4회에서 2024년 1.8회로 증가했으며, 아침식사로 밥을 먹는 비율은 점차 감소(66.7%)한 반면, 빵과 샌드위치로 아침식사를 하는 비율은 증가하여 가구의 쌀 구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쌀을 2~3달에 한 번 산다는 응답 비율은 5년 전에 비해 7%p 감소했고, 즉석밥만 먹어서 쌀을 구입하지 않는 가구 비율은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ㅇ 집에서 음식을 만들어 먹지 않는 가구 비율은 2015년 7.0%에서 2024년 39.6%까지 증가했으며, 이러한 추세는 연령이 낮은 가구와 가구원 수가 적은 가구, 가구소득이 높은 가구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향후 가구의 쌀 구입이 더욱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 고물가 상황에서 식품구입 행동이 줄이거나 대체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ㅇ 우리나라 가구의 식품 주 구입자는 2024년 장바구니 물가수준이 전년 대비 평균 19.6% 상승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 장바구니 물가 상승 체감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2022년에는 15.4%, 2023년에는 14.1%로 조사된 바 있다.

  ㅇ 고물가 상황에서 가구의 식품구입에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35.2%로 전년(46.8%) 대비 크게 줄어, 올해 식품 고물가가 전년에 비해 더 많은 가구의 식품구입 행동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식품구입을 줄인 가구는 고물가 시대에 대응하여 식료품 구입량을 줄이거나 가격이 더 싼 제품을 구입했다고 밝혔다. 특히 가격이 많이 상승한 일부 품목의 구입량을 줄여서 대응한다는 가구 비율이 전년 대비 14.9%p 높아졌다.

다음글
‘지속가능한 농어촌’을 위한 「2024 농어촌 삶의 질 향상 정책 컨퍼런스」개최
이전글
동북아농업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협력 방안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