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보도자료
"韓 1㏊당 쌀생산 美의 83%, 복숭아 佛의 49%" 기사에 대한 설명자료
□ 10월 30일자 뉴스1 ‘韓 1㏊당 쌀생산 美의 83%, 복숭아 佛의 49%…"R&D투자 늘려야"’, 기사의 일부 내용에 대한 추가 보완 설명을 제공합니다.
<기사 내용>
□ 3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쌀 재배면적당 수확량은 ㏊당 6.9톤(t)으로 미국(8.3톤)의 83.1% 수준이며, 주요 농산물의 단위면적당 수확량도 다른 국가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
○ 사과의 수확량은 ㏊당 16.4톤으로 네덜란드(40.0톤)의 40.9% 수준이며, 일본(21.0톤), 미국(37.9톤), 프랑스(33.1톤), 독일(32.3톤)보다 낮음. 복숭아는 ㏊당 9.9톤으로 프랑스(20.2톤)의 48.9% 수준을 기록. 배(72.9%), 포도(84.8%), 단감(87.6%), 당근(63.0%), 마늘(62.2%), 콩(61.0%), 감자(25.3%) 등의 품목도 주요국 수확량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
○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총요소생산성에 비해 투입요소 중 토지만을 고려하는 수치로 국가 간 생산량을 비교할 때 사용되는 지표임.
≫≫≫ 추가 설명 내용
□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품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부 품목의 단위면적당 수확량만으로 우리나라의 생산성이 주요국 대비 낮다고 판단할 수 없음.
- 양배추, 양파, 감귤 등은 우리나라의 단위면적 당 수확량이 최고수준
□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토지만을 고려하는 생산성 지표로, 노동, 경상재, 고정자본과 같은 투입요소를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 같은 품목이라 하더라도 국가별 품종이나 재배방법, 품질의 차이등 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다음글
-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촌진흥청, ‘AgTech와 미래 농업’을 주제로 정책연구협의회 개최
- 이전글
- 「‘올해 김장의향 소비자 조사결과, 직접 담금 비중은 전년보다 증가하나, 김장 규모는 감소」에 대한 보완 설명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