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보도자료

"韓 1㏊당 쌀생산 美의 83%, 복숭아 佛의 49%" 기사에 대한 설명자료

2024.10.30
648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카테고리
설명
작성자
홍보팀

□ 10월 30일자 뉴스1 ‘韓 1㏊당 쌀생산 美의 83%, 복숭아 佛의 49%…"R&D투자 늘려야"’, 기사의 일부 내용에 대한 추가 보완 설명을 제공합니다.


<기사 내용>


 □ 3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쌀 재배면적당 수확량은 ㏊당 6.9톤(t)으로 미국(8.3톤)의 83.1% 수준이며, 주요 농산물의 단위면적당 수확량도 다른 국가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

  ○ 사과의 수확량은 ㏊당 16.4톤으로 네덜란드(40.0톤)의 40.9% 수준이며, 일본(21.0톤), 미국(37.9톤), 프랑스(33.1톤), 독일(32.3톤)보다 낮음. 복숭아는 ㏊당 9.9톤으로 프랑스(20.2톤)의 48.9% 수준을 기록. 배(72.9%), 포도(84.8%), 단감(87.6%), 당근(63.0%), 마늘(62.2%), 콩(61.0%), 감자(25.3%) 등의 품목도 주요국 수확량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

  ○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총요소생산성에 비해 투입요소 중 토지만을 고려하는 수치로 국가 간 생산량을 비교할 때 사용되는 지표임.



≫≫≫ 추가 설명 내용


□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품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부 품목의 단위면적당 수확량만으로 우리나라의 생산성이 주요국 대비 낮다고 판단할 수 없음.

   - 양배추, 양파, 감귤 등은 우리나라의 단위면적 당 수확량이 최고수준


□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토지만을 고려하는 생산성 지표로, 노동, 경상재, 고정자본과 같은 투입요소를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 같은 품목이라 하더라도 국가별 품종이나 재배방법, 품질의 차이등 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다음글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촌진흥청, ‘AgTech와 미래 농업’을 주제로 정책연구협의회 개최
이전글
「‘올해 김장의향 소비자 조사결과, 직접 담금 비중은 전년보다 증가하나, 김장 규모는 감소」에 대한 보완 설명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