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정포커스

2023년 소비자 김장 의향 및 주요 채소류 공급 전망

2023.11.13 8118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정민국, 김원태; 박영구; 박지원; 남호진; 노수정; 김다정
  • 등록일
    2023.11.13
목차

1. 2023년 소비자 김장 의향
2. 2023년 김장용 주요 채소류 공급 전망 및 시사점

요약문

2023년 김장철 가구당 배추 구입량 전년보다 감소 전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가구 소비자 패널의 김장 의향 조사 결과, 2023년 김치를 직접 담그는 비율은 63.3%로 전년(65.0%) 대비 감소함.
• 4인 가족 기준, 김장용 배추 구매 의향량은 19.9포기로 전년 대비 8.9%(1.9포기) 감소, 무는 8.5개로 1.2%(0.1개) 증가함.
• 김장 의향 감소로 핵심 부재료인 건고추 구매량도 전년 대비 4.6% 감소, 반면, 마늘은 가격 약세에 따른 김장 이외의 가정 내 저장 수요 늘면서 3.1% 증가함.

김장 의향 감소의 주요 요인은 김치 소비량 감소와 시판김치의 편리성 때문
• 김장 의향 감소의 주된 요인은 김치 소비 감소(45.6%), 시판김치 구매의 편리성(23.1%), 가정 내 재고 보유(13.6%) 등임.
• 시판김치 구매 이유는 필요량 만큼 구매가 가능(54.5%)하고 김장의 번거로움 해소(32.8%) 순임.

2023년 김장배추 형태별 구매 비율은 절임배추(56.1%)가 절반 이상
• 김장배추 형태별 구매 비율은 절임배추 56.1%, 신선배추 41.3%, 신선배추와 절임배추 같이 구매 2.6%임.
• 절임배추는 구매 비율 증가 추세에 있으며, 신선배추와 같이 구매하는 경우에도 절임배추 사용 비율이 증가함.

11월 중순 이후부터 출하 지역 확대되어 김장철 배추 출하량 평년 수준 근접
• 가을배추는 10월 하순부터 시작되며 출하 지역이 점차 확대되어 본격 김장 시기인 11월에 전국 출하함.
• 배추 11월 출하량은 상순까지 평년보다 적을 것으로 보이나 중·하순에는 출하 지역이 확대되면서 평년과 비슷할 전망임.

저자정보
정민국
선임연구위원
소속: 부원장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정민국
선임연구위원
소속: 부원장실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
    8118
  • 다운로드
    436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농업 ODA 확대가 K-Food+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이전글
2018~2022년 농가경제 변화 실태와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