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농정포커스
최근 농산물 가격 변동 실태와 시사점

목차
1. 농산물 물가지수 동향
2. 농산물 물가 변동 요인과 영향 분석
3. 주요 품목의 가격 변동 실태 분석
4. 시사점
요약문
2021년 상반기에는 농식품 가격 상승의 소비자물가 상승 기여도가 컸으나, 하반기 들어 공업제품·개인서비스 물가 상승이 소비자물가 상승을 견인
• 2020년 긴 장마, 태풍, 겨울철 한파 등에 의한 농산물 생산 감소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등의 영향으로 2021년 상반기 농산물 가격은 큰 폭으로 상승하였음.
• 최근 양호한 기상의 영향으로 채소류 작황 호전, 2021년산 농산물 생산량의 회복, 가금류 재입식에 따른 사육마릿수 증가 등으로 농산물 가격 상승률은 점진적으로 안정되고 있음.
• 과일의 계절성을 고려하지 않는 소비자물가지수 산출 방식의 특성 때문에 과일류를 제외하고 농산물 물가지수를 재산출한 결과, 2월 이후 농산물 물가 상승률은 빠르게 하락하는 추세였으며 8월 기준으로는 오히려 전년 대비 하락하였음.
• 2021년 농식품의 물가 상승 기여도는 축소되고 있으며, 공업제품·개인서비스 등의 물가 상승 기여도는 확대되고 있음.
최근 농산물 가격 상승의 주요 요인은 단기적 수급 상황의 변화에 따른 가격 변동이며, 처분가능소득 증가, 식생활 패턴 변화, 수입단가 상승 요인은 축산물 가격 상승에 영향
• 수요 측면에서는 국가 차원의 인플레이션 요인이 농산물 가격 상승에 미친 영향은 미미하며,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집밥 소비 증가 요인, 이전소득 증가에 따른 처분가능소득 증가 요인, 수입단가 상승 요인은 축산물 가격 상승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침.
• 공급 측면에서는 농업임금 상승 등에 의한 가격 상승 영향은 미미하며, 일시적인 재배면적 감소, 이상기상에 따른 작황 부진, 가축질병 발생 등 단기적 수급 여건의 변화에 의해 농산물 가격이 상승하였음.
• 2019년 농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였고 2020년 가격도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기 때문에, 2019년 농산물 가격 하락의 기저효과로 최근 농산물 가격 상승의 체감 효과가 상대적으로 확대되었음.
공급 측면의 요인뿐만 아니라 수요 측면의 요인 변동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여 농산물 가격 안정화 방안 모색이 필요
• 최근 농산물 가격 변동은 공급 측면의 요인과 함께 수요 측면의 요인 변동에 의해 야기된 것으로 나타나 공급뿐만 아니라 수요 측 요인의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공급·수요 측면의 다양한 잠재 요인의 영향을 진단·분석하고, 가격 변동 요인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품목별 가격 안정화를 모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함.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19705
-
좋아요4
-
다운로드2012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2021년 김장 의향 및 김장채소류 수급 전망
- 이전글
- 2020년 귀농·귀촌 동향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