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농정포커스
환경 변화를 반영한 2020년 농업부문 수정 전망

목차
1. 대외 여건과 거시경제 전망
2. 한국 농업 동향과 전망
3.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4. 농가인구 동향과 전망
요약문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비 위축, 무역 제한, 국가 간 이동 제약 등으로 2020년 세계 경제성장률은 전년 대비 7.7%p 낮은 –5.1%로 전망(Global Insight)되는 등 경제환경이 변화
• 국내 경기는 점차 개선되겠으나 그 속도는 더뎌 2020년 한국 경제성장률은 전년 대비 3.3%p 낮은 –1.3%로 전망되며 코로나19의 향후 전개 양상에 따라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
재배업과 축잠업이 성장, 2020년 농업생산액은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전년 대비 3.1% 증가한 52조 770억 원으로 전망
• 경지면적은 전년 대비 0.9% 줄어든 156.7만 ha
• 재배면적은 엽채류 및 근채류를 제외한 여타 부류들의 감소로 전년 대비 1.0% 감소
• 가축 사육 마릿수는 전년 대비 0.4% 감소한 192.6백만 마리
• 5대 채소 소비량은 증가하나, 7대 곡물, 3대 육류, 과일 소비량은 감소
•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에 따른 농산물 수입량 감소로 전체 농축산물 자급률 전년 대비 0.2%p 상승한 71.0%
• 수출액 증가보다 수입액 증가 규모가 더 커서 농식품 무역수지 적자는 전년 대비 1.5% 늘어난 213.6억 달러
이전소득과 농업소득이 증가하여 2020년 농가소득은 전년 대비 4.6% 증가한 4,309만 원으로 전망
• 농업경영비 증가와 기상 여건 악화에 따른 생산량 감소에도 가정 내 육류 수요 증가와 농산물 가격 급등으로 농업소득은 전년 대비 5.1% 증가 전망
• 농업구입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3.5% 상승하지만 코로나19 확산과 기상재해 영향으로 인한 공급 감소로 농가판매가격지수가 4.1% 상승하여 농업교역조건지수는 전년 대비 0.6% 개선
2020년 농가호수는 전년 대비 0.6% 감소한 100.1만 호, 농가인구는 1.0% 감소한 222.2만 명으로 전망
•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율은 2019년 46.6%에서 2025년 52.2%, 2030년 57.2%에 이르러 농업노동력의 고령화 현상은 가속될 전망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143979
-
좋아요3
-
다운로드1701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2020년 김장 의향 및 김장채소류 수급 전망
- 이전글
- 2020년 추석 성수기 주요 농축산물의 출하 및 가격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