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정포커스

2016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생산실태 및 시장전망

2016.08.02 17433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정학균, 이혜진; 김창길
  • 등록일
    2016.08.02
목차

1.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현황
2. 국내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규모와 전망
3. 세계 유기농업의 현황 및 시장규모
4. 시사점과 과제

요약문

◦ 친환경농산물(유기+무농약) 재배면적은 2013년 이후 감소해왔으나 2016년 이후 다시 증가할 전망
-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은 인증의 신뢰성 문제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증이 보다 강화되어 2013년 이후 연평균 16.1%로 감소
- 인증제도의 개선, 유통체계 확충 및 소비 확대, 생산기반 확충 등 ‘제4차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이 예정대로 추진될 경우 2016년 이후에는 다시 증가할 전망임

◦ 친환경농산물 인증실적의 감소로 시장규모도 점차 줄어들었으며 2015년은 전년보다 18.8% 줄어든 약 1조 2,718억 원이 될 것으로 추정됨
- 2015년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가 감소한 이유는 인증면적의 감소로 출하량이 매우 적었기 때문임
- 품목류별 시장규모 비중은 과실류의 비중이 8.0%로 곡류(42.8%), 채소류(21.7%)에 비해 매우 작은 수준임

◦ 세계적인 웰빙트렌드의 확산으로 유기농식품 시장규모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2000년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세계 유기농산물은 2014년 기준 약 172개국, 4,366만 ha의 면적에서 생산되고 있고,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유기농식품 세계 시장규모는 1990년 150억 달러에서 2012년에는 4.3배 증가한 640억 달러, 2014년에는 5.3배 증가한 800억 달러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

◦ 2016년 이후 시장규모는 정부의 육성정책에 힘입어 증가세로 전환될 전망
- 2016년 이후 정부의 ‘제4차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의 추진으로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 2조 5,242억 원, 2025년 3조 9,862억 원으로 전망

◦ 친환경농산물의 안정적인 공급 및 소비를 촉진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긴요
- 단기적으로 저농약 인증제도 폐지에 대응하여 친환경 과실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직불제의 개선, 생산자 보험 도입, 유기농과수 재배 매뉴얼 작성 및 보급 등의 대응방안 긴요
- 중장기적으로 친환경농산물 시장규모 확대에 대응하여 친환경가공식품의 산업기반을 확충하고 외식 및 수출 등 국내외 소비시장 확대사업 추진 필요

저자정보
정학균
선임연구위원
소속: 거시농정연구본부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정학균
선임연구위원
소속: 거시농정연구본부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17433
  • 다운로드
    186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일본의 쌀 생산조정제도 폐지와 논농업 활로 찾기
이전글
한·콜롬비아 FTA 발효, 농업분야 파급영향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