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정포커스

닭고기 수급 불균형과 파급 영향

2015.12.18 10496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우병준, 김형진
  • 등록일
    2015.12.18
목차

1. 닭고기 수급 현황 및 전망
2. 닭고기 수급 불균형 원인 검토
3. 수급 불균형에 따른 파급 영향
4. 결론 및 시사점

요약문

◦ 우리나라의 도계 마릿수는 매년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5년 도계 마릿수는 사상 최대 수준인 9억 6,127만 마리로 예측됨. 이러한 증가세는 2016년에도 지속되어 내년 1~8월 도계 마릿수는 올해보다 5.0%, 평년보다 22.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그 결과 육계 산지가격은 지속적인 하락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 지속적인 닭고기 공급 증가로 인해 2015년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5.8%, 평년보다 17.4% 하락한 ㎏당 1,483원으로 전망되며, 2016년에는 더욱 하락할 것으로 보임
- 그동안 HPAI 발생으로 금지되었던 미국산과 태국산 닭고기 국내 수입이 재개될 경우 산지가격 하락폭은 더욱 커질 수 있음

◦ 닭고기 공급 과잉의 주된 원인은 계열 업체의 경쟁 심화, 닭고기 소비 정체, 종계 공급 부족을 우려한 계열 업체들의 단기간 종계 입식 급증 등으로 요약할 수 있음
- 대규모 닭고기 계열업체 신규진입이 계속되면서 업체 간의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한 경쟁이 거세짐. 그 결과 2011∼2014년 기간 동안 주요 계열업체의 도계 마릿수는 연평균 6.4% 증가하고 닭고기 공급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남. 반면 닭고기 소비량은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고 정체 상태를 보여 업계의 닭고기 냉동재고도 증가하고 있음
- 금년 하반기의 종계 부족 가능성을 우려한 업체들의 종계 확보 경쟁으로 인해 금년 종계 입식 마릿수는 평년보다 4.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닭고기 공급 과잉으로 인한 수급불균형과 경쟁 심화로 인해 계열업체의 영업이익 급감과 중소업체 폐업이 발생함. 또한 위탁 사육농가에게도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한다는 현장 의견이 나타남
- 2015년 3분기 기준 주요 상장 계열업체 영업이익 모두 적자를 기록함
- 농가 대상 설문 결과, 위탁수수료 인하, 육계 비품 처리 증가 등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경영비 증가 부담을 모두 농가에게 귀속시킨다는 불만이 조사됨

◦ 업체 간 경쟁 심화로 발생한 닭고기 공급 과잉 문제 해결을 위한 업계의 자율적인 노력과 닭고기 소비 확대를 위한 전략 수립, 위탁사육 농가와 계열업체 간의 상생협력 노력이 필요함
- 계열업체 간의 과도한 경쟁보다는 자율적인 생산 조절을 통한 입식 및 사육규모 감축과 닭고기 소비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전략 수립이 필요함
- 발생 가능한 위탁 사육농가 피해 방지를 위한 상생협력 노력과 제도 보완이 필요함

저자정보
우병준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우병준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10496
  • 다운로드
    51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이슬람권 농식품 시장 수출 동향 및 잠재성
이전글
2015년 김장철 채소류 수급 전망과 절임배추 소비특성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