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이슈+

2024 미국 대선, 농업·통상정책 시사점

2024.10.30 1977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김상효, 한정훈; 정대희
  • 등록일
    2024.10.30
목차

1. 2024 미국 대선 개요
2. 후보별 농업·통상정책 비교
3. 시사점 및 대응 과제

요약문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한국 농업·통상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으로 예상됨. 선제적 대응과 전략 마련이 요구됨.

• 경합 주 선거 결과가 대선 결과를 좌우할 전망. 현재로서는 박빙임. 대선 키워드는 인플레이션, 이민, 이스라엘, 낙태, 총기 규제, 기후변화 등임.
• 민주당 해리스 후보 당선 시 IPEF 규범 강화, Agro-CBAM 도입, 기후변화 완화 등이 우리 농업 및 농업통상에 영향을 줄 것임.
• 공화당 트럼프 후보 당선 시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예상되며, 자국 관세 인상, 수출국의 관세/비관세장벽 철폐 요구 및 수입선 변경이 예상됨.
• 어떤 후보가 당선되더라도 통상협상에 대해서는 선제적인 대비가 필요함.

저자정보
김상효
연구위원
소속: 동향분석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김상효
연구위원
소속: 동향분석실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
    1977
  • 다운로드
    592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트럼프 2기 정부의 농업 부문 정책 변화 전망과 우리 농업의 대응과제
이전글
우리나라 농업생산성 현황과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