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미디어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2023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제6장 보칙
세계농업정보
[세계농업] 제244호 (2021년 11월)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1. 세계농업 전망: OECD-FAO 농업전망
OECD-FAO 농업전망 2021-2030: 육류
2.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농촌문화관광 및 국제농업개발협력
동유럽의 농촌문화를 활용한 관광 개발 사업
미국의 농업분야 국제개발협력 전략과 시사점
3.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지속가능한 농업 가치사슬
농식품 분야의 글로벌 가치사슬
농부와 가치사슬: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4. 국가별 농업자료: 네덜란드
네덜란드의 케어파밍과 시사점
5. 국제기구·연구 동향
아시아 개발도상국 농업의 전환
6. 국제 농업 정보
7. 세계 농업 브리핑
요약문
이번 호의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에서는 농촌문화를 활용한 관광개발사업 사례를 소개한다. 유럽 동남부지역 국가들이 중심이 되어 실시하는 시컬투어(SY-CULTour) 프로젝트가 그것인데, 농촌의 문화적 가치를 지역 발전의 원동력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단계별 가이드라인에 따라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기초조사와 전략적 계획 및 실행계획을 수립하며, 실제적 실행과 사후 모니터링까지 담당하는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에서는 개발도상국의 농업인을 가치사슬 체계에 연결시킴으로써 지속가능한 개발과 빈곤 퇴치에 이르는 방안을 제시한다. 여기서 주요 수단으로 제시되는 것이 계약농업인데, 이의 장점과 함께 계약농업 모델을 소개한다.
국가별 농업자료로는 네덜란드의 케어파밍을 소개한다. 네덜란드는 농업활동을 다양한 측면에서 그 영역을 확대하는 다기능 농업을 장려하는 것으로 유명한데, 케어파밍은 그러한 다기능 농업의 한 형태로 운용되는 것이다. 케어파밍은 한마디로 농업과 헬스케어가 결합한 것으로서 케어팜에서 돌봄, 재활, 교육 및 훈련 등이 이루어진다. 사회적 농업이 돌봄과 결부된 형태에 해당하는 케어파밍은 우리나라 농업이 다기능 농업으로 나아가고자 할 때 필히 검토되어야 하는 내용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국제기구‧연구 동향에서는 아시아 개발도상국들을 대상으로 하는 ‘농업의 전환’ 주제를 다룬다. 이러한 전환이 당면과제로 대두되는 요인으로는 식량 및 식품 소비의 변화, 영양실조, 농촌인구 감소 및 고령화, 기후변화 등이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농업 생산성 증대와 환경 피해 최소화 등이 제시되나, 상호양립하기 쉽지 않은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조화시키거나 양립되는 것들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혁신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 밖에도 이번 호에서는 미국 바이든 정부의 ODA 전략, 농식품 분야의 글로벌 가치사슬 체계 등을 소개하고, OECD-FAO 농업전망의 속행 주제로 축산(육류) 부문을 다루었다.
저자정보
![](../images/default_person.png)
저자에게 문의
![](../images/default_person.png)
-
상세정보 조회15704
-
좋아요3
-
다운로드1569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세계농업] 제245호 (2022년 1월)
- 이전글
- [세계농업] 제243호 (2021년 0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