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미디어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2023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제6장 보칙
세계농업정보
[세계농업] 제238호 (2020년 11월)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1. 세계농업 전망 : OECD-FAO 농업전망 2020-2029
OECD-FAO 농업전망 2020-2029: 개요
OECD-FAO 농업전망 2020-2029: 곡물 및 유지작물
2. 해외 농업·농정 포커스 : 혼농임업
환경 지불금(PES)이 혼농임업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 평가: 코스타리카 사례
유럽 혼농임업 현황과 정책
3.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 식품 산업
일본 식품산업의 코로나19 영향과 전망
4. 국가별 농업자료 : 베트남
베트남 축산업 현황 및 가축 질병 발생 동향과 대책
5. 국제기구·연구 동향
코로나19와 세계 농식품 무역 및 가치사슬 변화와 시사점
6. 국제 농업 정보
7. 세계 농업 브리핑
요약문
이번 호에서는 OECD-FAO 농업전망 2020-2029의 내용이 소개된다. OECD-FAO 농업전망 중 특히 전체적인 개요를 요약적으로 정리한 부분과 곡물 및 유지작물의 전망 부분이 이번에 수록되고, 축산을 포함한 다른 분야들의 전망은 이어지는 e-세계농업과 2021년 1월호 세계농업에 게재될 예정이다.
해외농업‧농정 포커스에서는 혼농임업이 특집으로 다루어진다. 먼저 혼농임업의 육성을 위해 환경지불금을 사용한 코스타리카의 사례를 소개하고, 이 지불금의 효과 분석을 시도한 연구결과가 제시된다. 이 연구는 결론적으로 환경지불금과 연계된 혼농임업이 혼농림업경영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환경적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다음으로 유럽의 혼농임업 현황을 소개하는 또 다른 연구가 이어진다. 이 연구는 유럽에서 특히 EU가 공동농업정책 입장에서 혼농임업을 지원하고 있음을 소개하고, 유럽의 그린뉴딜 차원에서 혼농임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이번 호의 또 다른 특집으로는 코로나19의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들이 게재되고 있다. 먼저 세계농식품산업 동향에서 일본 식품산업에의 코로나19의 영향 분석이 다루어진다. 일본 식품산업에서 코로나19의 영향은 소비와 외식, 유통과 수출입 등 전반적으로 미친 영향이 크지만, 특히 농업 및 식품생산 부문에서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다음으로 국제기구‧연구 동향에서 코로나19와 관련성을 다룬 연구결과가 소개된다. 이 연구는 농식품무역 및 세계 가치사슬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는 과정에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19 환경이 미치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국가별 농업자료로는 베트남의 축산업 현황 및 가축질병 발생 동향이 소개된다. 베트남의 경우, 축산물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생산 및 공급의 성장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인데, 여기에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가축질병이 주요한 저해요인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베트남 축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가축질병 관리시스템 마련이 필수적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저자정보
![](../images/default_person.png)
저자에게 문의
![](../images/default_person.png)
-
상세정보 조회35638
-
좋아요4
-
다운로드4624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세계농업] 제239호 (2021년 01월)
- 이전글
- [세계농업] 제237호 (2020년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