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수시연구과제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2023.07.07
20702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가소득 및 소비구조의 변화
제3장 농가의 평균소비성향 분석
제4장 농가의 소득유형별 한계소비성향 분석
제5장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이 연구는 소득분위별 농가소득과 농가소비의 구조와 추이를 파악하고, 가처분소득 중 총소비지출로 이어지는 비율(평균소비성향) 및 유형별 농가소득 증가에 대한 소비지출의 민감성(한계소비성향)을 분석하여 농가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농가소득 증대 정책 마련 시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저자정보
![](https://krei.re.kr/DATA/user/20220039.jpg)
박미선
부연구위원
소속: 신산업인력연구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https://krei.re.kr/DATA/user/20220039.jpg)
박미선
부연구위원
소속: 신산업인력연구실
-
상세정보 조회20702
-
좋아요1
-
다운로드1552
같은 분야 보고서
-
공공형 계절 근로 시범사업 성과와 과제
엄진영2023.11.30KREI 보고서 -
한우낙농 산업 경영안정 대책 연구
송우진2024.02.29KREI 보고서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2023.12.30KREI 보고서 -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임소영2023.11.30KREI 보고서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2023.04.30KREI 보고서 -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이명기2023.07.30KREI 보고서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2023.03.09KREI 보고서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2023.06.28KREI 보고서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2023.03.09KREI 보고서 -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허정회2022.11.30KREI 보고서
- 다음글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 이전글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