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농업인 디지털정보화 증진 방안 연구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관련 정책 동향 및 국내외 사례
제3장 농업인의 디지털정보화 실태
제4장 농업인의 디지털정보화 성과 분석
제5장 결론 및 제언
요약문
이 연구는 농업인의 디지털정보화 실태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적절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농업인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통해 농업인의 성과를 제고하고, 전반적인 농업의 디지털전환을 촉진하고자 하는 것이다. 디지털 기술이 농업에 가져올 긍정적인 변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농업인들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교육과 정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Purpose of Research
○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informationization among farmers to develop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and enhance their level of digital informationization.
Research Method
○ The study reviews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amples of digital informationization policies and analyzes relevant policies from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dditionally,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informationization among farmers, and the impact of digital informationization on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 sales was analyzed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50
-
좋아요0
-
다운로드12
같은 분야 보고서
-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 조사 분석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식량안보 위기 시나리오와 대응 체계 구축(1/2차년도)
최윤영2024.12.30KREI 보고서 -
K-푸드 플러스(K-Food+) 수출 확대 방안(1/2차년도)
정대희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관한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 : 초점집단토론 자료(1)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박미성2024.12.30KREI 보고서 -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윤종열2024.12.30KREI 보고서 -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김수린2024.12.30KREI 보고서 -
농촌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사회의 저출생·초고령화 대응 과제 : 초점집단토론 자료(2)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지역별 농지거래 실태 분석
채광석2024.12.30KREI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농림업 분야 중점 협력국 국제개발협력 전략 수립 (7차년도)- 동남아시아 국가 농업 디지털 전환
- 이전글
- 농촌공동체 조직 현황과 주민 참여 실태조사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