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연구보고서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산업화 방안연구(1/2차년도) -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산업 중심으로

2025.03.11 986
연구보고서 표지
  • 과제성격
    연구보고(R2024-14)
  • 저자
    윤종열, 이동소; 최진용; 김나흔
  • 등록일
    2025.03.11
  • 연구주제
    농업정책일반., 농업자원환경.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그린바이오 산업의 개념 및 전반의 현황과 정책
제3장 종자 및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의 그린바이오 적용 및 활용 산업
제4장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분야의 성장산업화 역량분석과 당면 문제
제5장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기술 및 관련 제품의 수요자 의향과 파급 영향 분석

요약문

국내 그린바이오 산업은 유망 분야의 기술적·산업적·제도적 기반이 열악해 아직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실정이어서 산업의 실태가 어떠한지 세밀히 파악하고, 당면 문제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2년에 걸쳐 수행하는 그린바이오 산업의 주요 유망 분야를 연차별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올해는 1차년도 연구로서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분야의 국내외 산업 여건 진단과 관련 정책 및 제도 변화, 신산업 성장이론에 기반한 성장산업화 역량분석, 그린바이오·마이크로바이옴 관련 기술 및 제품에 대한 수요자 의향 실태의 심층분석을 통해 당면 문제를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 부문의 성장산업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of Research
○The current global environment is confronted with significant challenges, such as climate change, depletion of resources, and food insecurity. In light of these urgent issues, the bio-industry—especially the green sector—has emerged as a promising solution. Green bio-industries utilize biotechnology in areas like agriculture and food production to create added value, positioning themselves as a growth sector with notable potential.

○While governments worldwide are implementing policies designed to promote the green bio-industry in alignment with these trends, tangible outcomes still need to be improved. Furthermore, discussions focused on identifying the fundamental causes that impede industrial advancement, as well as opportunities for enhancing policies and regulations, need to be revised and constrained. Despite research initiatives in promising green bio-fields, including seeds, microbiomes, and food ingredients, there exists a notable absence of comprehensive studies that evaluate the technology readiness of essential technologies, analyze the current industry landscape, assess the capabilities of the private sector, and explore growth strategies grounded in economic impact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윤종열Yoon, Jongyeol
연구위원
소속: 식품원예경제연구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윤종열Yoon, Jongyeol
연구위원
소속: 식품원예경제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986
  • 다운로드
    100
다음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식품시장 대응과제 (1/2차년도)
이전글
2024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