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수직농장의 운영 실태와 정책과제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수직농장의 개념과 발전과정
제3장 수직농장의 국내외 정책과 사례
제4장 수직농장의 산업 현황과 문제점
제5장 수직농장의 과제와 발전 방향
요약문
수직농장은 최근 기후위기와 농업의 노동력 부족 등 대내·외 환경변화에 적극적인 대응 방안 중 하나이며 중요한 성장 동력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수직농장은 현행법으로 농업시설로 인정되지 않으며, 인위적 환경조성을 통한 농산물 생산 체계로 인한 갈등 요인 등 면밀한 개념 정립과 발전과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식물공장 등 수직농장의 개념을 명확히 살펴보고, 우리나라와 해외의 수직농장 운영 현황과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수직농장의 발전을 위한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urpose of Research
○A plant factory represents an advanced approach to agriculture, employing sophisticated technology within a greenhouse to regulate the growing environment. Within this context, a vertical farm, characterized by multi-level indoor cultivation, serves as a specific type of plant factory. It represents the next wave of agricultural innovation, leveraging advance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to enhance both yield and quality in an automated farming setting.
○Smart farms and plant factories represent proactive responses to the evolving landscape of agriculture, including challeng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labor shortages. They are increasingly viewed as a promising new growth engine. Recently,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its ‘New Growth 4.0 Strategy 2023 Implementation Plan and Yearly Plan’. This initiative includes the announcement of plans outlined in the ‘Roadmap’ to establish an urban complex vertical farm by 2027 an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smart farms led by the private sector.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https://krei.re.kr/DATA/user/19960016.jpg)
저자에게 문의
![](https://krei.re.kr/DATA/user/19960016.jpg)
-
상세정보 조회12121
-
좋아요3
-
다운로드873
같은 분야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체식품 시장 변화에 따른 축산업의 대응 과제
이용건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 대응 현황과 시사점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3/3차년도)
김병률2023.12.30KREI 보고서 -
2023('22년 기준)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
박기환2023.12.30KREI 보고서 -
농산물 물류 효율화를 위한 정보화 방안 도출
송치홍2022.12.30KREI 보고서 -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2/3차년도)
김성우2022.12.30KREI 보고서 -
드론을 활용한 농업생산조사 방법 연구
국승용2022.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2024년도 중국 농수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 이전글
- 통계로 본 세계 속의 한국농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