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업 일자리 구조 변화와 특징
제3장 일자리 관련 법률·정책 현황 및 최근 변화 탐색
제4장 농업 일자리 확장과 근로환경 실태 및 당면문제
제5장 농업 일자리 확장과 안정화 방안
요약문
이 연구는 3개년에 걸쳐 수행한 다년차 과제로 본 보고서는 3차년도 결과물임.
농업 일자리 확장과 안정화 방안의 종합계획 수립과 효율적 방안 추진의 지원체계 구축에 초점을 두어 최근 농업 일자리 구조 및 법률적·제도적 변화, 농업 일자리 확장과 근로환경 실태의 심층 분석을 통해 당면문제를 도출함. 이에 근거해 농업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과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음.
○This three-year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expand and stabilize agricultural jobs under the government’s policy stance of an ‘innovative inclusive national job policy’ and ‘creating a stable and sustainable working environment.’ The specific annual research purposes are as follows:
- The first year of the study focused on presenting measures to expand agricultural jobs, such as the inflow of new personnel, development of innovative human resources, promotion of innovative start-ups (starting farms), and support of customized jobs for young people and (new) middle-aged individuals. In particular, it proposes measures to attract new human resources, analyses, the possibility of new jobs appearing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policies necessary for the inflow of new human resources.
- In the second year, the focus was on strengthening the job safety net and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s measures of job stabilization. Specifically, plans were presented to help agricultural personnel entering agriculture settle down stably and sustainably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agricultural working environment and suggesting improvement directions.
- In the third year of the study, an agricultural job policy system will be established by presenting a comprehensive plan for agricultural job expansion and stabilization and a support system that can efficiently promote it.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https://krei.re.kr/DATA/user/20140038.jpg)
저자에게 문의
![](https://krei.re.kr/DATA/user/20140038.jpg)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6935
-
좋아요0
-
다운로드155
같은 분야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응한 농업 경영 구조 전환 방향과 정책 과제
이명기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공공 R&D 성과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 방안
박지연2024.10.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분야 포괄보조금 제도 개선방안 연구
김태후2024.10.30KREI 보고서 -
미래농업 대응 신성장 산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이정민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 이전글
- 글로벌 식량 공급망 분석과 과제(1년차): 식용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