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연구보고서
2040 한국 농업 미래 시나리오 연구
![](../images/sub/open_mark4.png)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선행연구 검토 및 선호가치 기반 농업 미래 시나리오 분석의 의의
제3장 선호가치 기반 농업 미래 시나리오 분석
제4장 농업 미래 시나리오 동인 분석
제5장 결론
요약문
농정계획과 중장기 농정전략 연구는 미래모습 또는 지향점을 제시하고 대내외 농정 여건에 대응하여 농정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의 바람직한 농업의 모습과 농정 어젠다를 논의하고 제시할 때 원하는 가치와 농업의 모습이 다양하다는 기본적인 사실을 명시적으로 고려한 경우는 많지 않다. 정부가 중시하는 가치에 따라 농정 비전, 전략, 과제를 제시하고 추진하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성은 때때로 간과되기도 한다. 또한 추구하는 가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쟁점은 협의를 통해 생각의 차이를 좁혀나가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므로 논의의 장으로 올려지지 못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속에서 본 연구는 “국민이 원하는 우리나라 농업의 미래모습이 얼마나 다양하며, 얼마만큼 다를까?”라는 질문에 대한 구체적 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알아야만 어디서 어느 정도의 대립과 갈등이 발생하는지 알 수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협의·이해·조정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공감대를 이룬 농업의 미래모습 달성을 위한 농정을 펴나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농업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과 농정이 추구해야 할 목적이 다변화·복잡화되고 미래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전문가, 농업인, 일반국민 등 전체 국민이 선호하는 가치와 농업의 미래모습이 다양함을 정량적이고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농정을 수립하고 추진하기 위한 자료로써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서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진 비농업 분야의 ‘선호가치 기반 미래시나리오 연구’와 농업 부문의 기존 미래 전망 연구 등을 소개하였다. 이후 연구진 협의를 통해 본 연구에서 수행하는 ‘선호가치 기반 농업 미래시나리오 분석’이 기존 비농업 분야의 ‘선호가치 기반 미래시나리오 분석’을 어떠한 측면에서 참고하고 발전시켰는지를 설명하였다.
Purpose of Research
○Each individual has different preferences about conflicting value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future of agriculture that they prefer will also vary. This study started to find a specific answer to a question, “How diverse and different is the future of Korean agriculture that the people want?” The answer to this question can provide us with details of conflicts among people about the future of agri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consultation, understanding, and adjustment for the resolution of the collisions, it is possible to promote agricultural policies for the future on which consensus is formed.
○In addition, the purpose of agricultural policies is becoming more diversified and complicated, and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is increasing. In this situation, in order to implement agricultural policies more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future of agriculture based on various values. And it is requir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in a more diversified and in-depth way.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following purposes. ① Various future scenarios of agriculture in 2040 are presented based on diverse values preferred by the people (experts, farmers, and the general public). ② Examine the impacts of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on future agriculture. ③ Propose the mid- to long-term agricultural policy agenda for each scenario to achieve the future. ④ In addition, the study quantitatively analyzes how diverse the people's opinions are about their preferred values and the present state of agriculture and its possible and preferred futures. Through these, the study aims to be used as research material to establish and implement agricultural policie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저자정보
![](https://krei.re.kr/DATA/user/20060038.jpg)
저자에게 문의
![](https://krei.re.kr/DATA/user/20060038.jpg)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26150
-
좋아요0
-
다운로드1545
같은 분야 보고서
-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1/2차년도)
김정섭2024.12.30KREI 보고서 -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농식품산업 업(리)사이클링 전략 연구
우병준2024.12.30KREI 보고서 -
노지 원예농업의 스마트화 실태와 과제
구자춘2024.10.30KREI 보고서 -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응한 농업 경영 구조 전환 방향과 정책 과제
이명기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공공 R&D 성과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 방안
박지연2024.10.30KREI 보고서 -
농업농촌 분야 포괄보조금 제도 개선방안 연구
김태후2024.10.30KREI 보고서 -
미래농업 대응 신성장 산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이정민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업인력확보를 위한 이주배경청년의 노동실태와 정책과제
박미선2024.10.30KREI 보고서 -
농산물 수급관리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기술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최병옥2024.10.30KREI 보고서 -
농식품 글로벌 가치사슬 위험 요인 분석과 대응 방안연구
김종진2024.10.30KREI 보고서
- 다음글
- 드론을 활용한 농업생산조사 방법 연구
- 이전글
- 다함께 만드는 행복농촌 이야기: 2022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