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정포커스

우크라이나 사태의 국제곡물 시장 영향 분석

2022.03.31 21705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김종진, 김지연; 정대희; 박성진; 김범석; 윤성주
  • 등록일
    2022.03.31
목차

1. 국제곡물 시장 동향
2.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곡물 수출
3. 국제곡물 시장 영향 분석
4. 국내 영향 분석
5. 대응 및 시사점

요약문

2020년 하반기부터 상승세를 보이던 국제곡물 가격은 우크라이나 사태의 악화에 따라 흑해 지역 수출 비중이 높은 밀, 옥수수, 보리를 중심으로 급등
• 밀, 옥수수, 콩의 2022년 3월 CBOT 선물가격은 평년 3월 대비 각각 137.7%, 102.1%, 72.0% 상승함. 전쟁으로 인한 흑해지역 곡물 수출량 감소 우려와 주요 곡물 수출국의 수출제한 조치가 최근 국제곡물 가격 상승의 주요인인 것으로 판단됨.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옥수수, 밀, 보리, 해바라기유 주요 생산 및 수출국
• 우크라이나 세계 곡물 교역량 점유율은 옥수수 14%, 밀 9%, 보리 10%, 해바라기유 43%이며, 러시아는 밀 20%, 보리 14%, 해바라기유 20%임. 흑해 지역의 곡물은 주로 유럽, 중동, 동남아시아, 중국 등으로 수출됨.

우크라이나 사태로 2022/23년 국제 밀과 옥수수 가격은 약 10~20%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이러한 고곡가는 상당 기간 유지될 것으로 전망
• 우크라이나 사태로 흑해 지역의 2021/22년 밀, 옥수수 수출량은 각각 7백만 톤, 6백만 톤 감소하고, 우크라이나의 금년 봄 작물 생산량과 하계작물 재배 면적은 각각 3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우리나라는 가공용 옥수수(Non-GMO 포함)와 사료용 밀의 흑해산 수입 의존도가 높음. 우크라이나 사태에도 원산지 대체 등을 통해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가격 상승으로 인한 국내 물가 인상 압력 증가는 부담
• 우리나라는 배합사료 및 식품제조업에 사용되는 곡물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여 국제곡물 시장의 수급 및 가격 변동성이 국내 배합사료, 가공식품, 축산물, 외식업의 생산활동 및 물가 변동성으로 전이됨.
• 우크라이나 사태 영향으로 국내 가공식품 소비자물가는 3.4~6.8%, 외식 소비자물가는 0.6~1.2%, 배합사료 생산자물가는 5.3~10.6%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단기적으로 대체 원산지 개발과 국내 물가 영향 최소화를 위한 금융 및 세제 지원이 필요하며, 중장기적으로는 비축 등의 국내 공급 기반 확대, 국제곡물 유통 부문 진입을 통한 국제곡물조달시스템 구축이 필요
• 정부는 2020년 하반기 이후의 국제곡물 가격 상승 및 변동성 증가에 더하여 우크라이나 사태로 국제곡물 가격이 추가 상승하자 ‘국제곡물수급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국제곡물 위기 대응 체계를 가동함.

저자정보
김종진
선임연구위원
소속: FTA이행지원센터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김종진
선임연구위원
소속: FTA이행지원센터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
    21705
  • 다운로드
    3010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Impacts of Ukraine-Russia Conflict on Global Grain Prices
이전글
WTO 농업협상 최근 논의 동향 및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