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이슈+

농식품 물가 이슈, 진단과 과제

2024.02.02 5332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김상효, 최재현
  • 등록일
    2024.02.02
목차

1. 농식품 물가 추이 분석
2. 농식품 물가에 취약한 계층
3. 설 명절 수급안정 대책
4. 향후 대응 방향

요약문

농식품 물가상승은 수요-공급 상호작용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특정 품목에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인 점을 인식하여 대응 및 홍보 필요, 물가대책 마련 시 대상 품목과 지원대상에 선택과 집중 전략 필요, 소득계층별 물가지수 개발을 통한 관련 정책의 기초자료 확충 필요

• 농식품 물가상승은 수요-공급 상호작용의 결과임. 또한 생산자 생계와 연결된 이슈임. 농식품이 전체 소비자물가지수에서 차지하는 가중치가 높지 않은 점, 개별 품목으로 보면 돼지고기(0.98), 국산쇠고기(0.86), 쌀(0.42), 수입쇠고기(0.31)를 제외하면 0.3 이하로 낮은 점. 이마저도 대체로 오랜기간 지속되지 않는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자연스러운 시장의 현상으로 인식하여 대응 및 홍보 노력 필요
• 물가상승률도 높고 가구의 소비 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높은 몇몇 품목들에 대해 선택과 집중적인 물가대책 마련이 요구되며, 시장공급에 큰 어려움이 없는 상황에서 물가대책 대상 품목으로 선정되는 부분은 재고 필요
• 농식품 물가상승기에 저소득계층은 식생활을 바꿀 여력이 크지 않아 가장 취약함. 물가대책 수립 시 저소득계층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이때 곡물 및 채소에 대한 지출 비중이 높은 경향 등 저소득계층의 소비패턴을 참고해야 할 것

저자정보
김상효
연구위원
소속: 동향분석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김상효
연구위원
소속: 동향분석실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
    5332
  • 다운로드
    685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농업인력 부족과 대응 : ① 여성농업인 확대를 위한 과제
이전글
주요 원자재 가격 변동, 농업경영 안정을 위한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