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주요컨텐츠

Feature Stories 

제4유형
Feature Stories 상세보기 - Title, Content, File, 게시일 정보 제공
2023 KAPEX 대상국 알아보기 – (3) 몽골
55


¦  몽골 농업 현황

- 몽골은 아시아 북방에 있는 내륙국으로 높은비중의 국토가 해발 약 1,500m 이상의 고원지대임. 국토면적은 대한민국의 약 7배이나 인구는 337만 명에 불과하여세계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국가임. 남쪽으로는 중국, 북쪽으로는러시아와 접경함.

- 몽골은 건조한 대륙성 기후로 연평균 강수량이 350mm에 불과하고 겨울이 길고 여름이 짧으며, 계절 구분이 명확함.

- 2021년 기준 몽골의 전체 인구 337만 명 가운데 농촌 인구는 104만 명으로, 농촌 인구 비중은 31%임. 농촌인구 비중은 1990년대에 43%에 머물러 있다가 2000년대 이후 지속해서 감소함.

- 몽골 농업은 크게 (1) 곡류와 사료작물 생산을 위해 기계화된 경종농업, (2) 젖소, 돼지, 가금류를 사육하는 집약 축산, 그리고 (3) 낙타, 말, 소, 양, 염소를 키우는조방 축산이 주를 이룸.

- 몽골의 주요 농산물은 밀(약 40만 톤), 감자(24만 톤), 당근(6만톤), 양배추(2만 톤),귀리(1만 톤) 등이며, 농경지 면적에서 곡물 생산 비중이 절반을 상회함.

- 몽골 농업 노동력의 85%가 목축업에 종사하며 총 국토 면적의 약 80%가 목축업에 활용되고있음.

 

¦  문제점

- 도시민을 중심으로 건강과 영양에 관한 관심이커지면서 육류 위주의 식단에서 탈피해 채소 섭취를 늘리는 경향이 뚜렷함. 이에 따라 채소 재배 농가도늘어나고 유기농 채소 수요가 많아 유기질 비료 수요도 증가하지만, 국내 비료 공급이 턱없이 부족함.

- 몽골은 혹한과 건조한 기상 조건으로 바람으로인한 표토 유실이 많아, 토양비옥도가 전반적으로 낮음. 특히, 밀재배지역은 잡초 생장을 억제하려고 주로 가을철에 하는 경운 작업과 바람이 강하고 돌풍이 잦은 봄철 파종 전에시행하는 로터리 작업이 토양비옥도를 더욱 떨어뜨림.

- 몽골 농경지는 유기물 함량이 적고 토질이 나빠시비 관리가 중요하나, 비료 대부분을 수입하고 비용 등의 이유로 다수의 농가가 비료를 제한적으로 사용하거나전혀 사용하지 않고 작물을 재배함.

- 목축업자를 포함한 농업인의 대다수가 유기농법관련 지식이 부족하고 기술지원 또는 자문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움. 한편, 소비자는 유기농 식품에 관한 관심과 이해도가 낮음.

- 몽골 토양의 침식 정도는 61.4%로 다소 높음. 지난 40년간토양 침식과 황폐화가 7~25배까지 증가했고 토양 유기물 함량은37~52% 감소함. 적절한 시비 기술과 유·무기질비료를 이용률이 낮아 토양 비옥도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음.

 

¦  사업목적

- 단기적으로는 본 컨설팅을 통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유기 비료 기술을 도입하고 농가의 비료 이용률을 높이고자 함. 동시에,가축분뇨와 유기 폐기물을 활용해 비료를 생산하고 포장할 시범 플랜트를 구축함.

- 장기적으로는 토양 비옥도를 개선하고 자원의순환경제를 실천되게 하며 국민의 식량안보를 강화하는 데 사업의 목적을 둠. 더불어, 몽골 농업부와 관계기관의 관련 정책 수립 역량을 강화하고자 함.

 

¦  사업의 적절성

- 유기농 비료 도입을 통한 토양 보호는 몽골의장기적인 국가개발전략의 우선순위와 세부 계획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조건임. 몽골의 장기 개발전략에 해당하는 ‘비전 2050(Vision 2050)’은 인간개발, 녹색발전, 지역개발을 우선순위에 두고 식량안보와 농업의 중요성을강조함. 2050년까지 국내 채소 수요를 100% 충족 목표를달성하기 위해 농장 기계화와 절수 가능 관개시설 도입을 위한 기술을 지원할 계획임.

- 농업 부문 발전 전략에는 토양 보호와 농업생산성 증대가 직접 포함되어 있으며, 본 정책컨설팅을 통해 유기 비료 도입이 확대되면 농업발전 전략이행에 이바지할 수 있음.

 

¦  기대효과

- 몽골 식량농업경공업부 공무원과 관련 인력의 농업 부문 정책연구와 사업 발굴을 위한 역량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몽골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관련 ODA 사업으로발전시키고 관련 정책을 형성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함.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