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임업관측정보

제4유형
임업관측정보 상세보기 - 카테고리, 제목, 파일, 내용 정보 제공
2008_ 12표고버섯관측월보
 년   월
파일
 
생표고 생산량은 봄철 생산을 위한 억제, 기상여건 변화 등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소비 또한 경기 위축 등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11~12월 생표고 가격은 약보합세가 전망된다. 건표고 가격은 생산량 감소, 수출물량 확보경쟁 등으로 강보합세가 전망된다.
 
 
신규접종 의향 감소, 저온성과 중고온성 선호
재배 임가의 51%는 내년 신규접종 의향이 없거나 아직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목 가격의 상승, 고령화에 따른 인력부족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수확가능 시기별 품종 선호는 주로 저온성(45%)과 중고온성(35%)이 높았으며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내년 신규접종(수확가능 시기별) 계획
 
  주 : 표본임가 조사치(10월27일~11월5일)
 
10월 생산량 감소, 품질은 양호
재배규모의 감소, 강수량 부족 등으로 생산량은 감소하였으나 품질은 맑은 날이 많아 전반적으로 양호하였다. 다만 노지재배가 많은 지역에서는 가뭄, 안개 등 기상여건이 좋지 않아 품질이 다소 떨어졌다.
 
10월 생산량 및 품질(작년 동기대비)
  단위 : %
 
구분 전국 강원 경기 충청 호남 영남
생산량 -35 -40 -35 -35 -40 -25
품질 좋음 51 25 77 51 30 70
보통 33 0 15 26 37 30
나쁨 16 75 8 23 3 0
  주 : 표본임가 조사치(10월27일~11월5일)
 
11월 이후 생산량 감소, 품질은 보통 수준일 듯
원목 표고 생산량은 봄철 생산을 위한 억제, 기상여건 변화 등으로 작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톱밥배지 표고 생산량은 최근 수입배지가 증가하는 등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전체적인 생산량은 작년 동기보다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가락시장의 표고버섯 반입 비율은 원목 85%, 톱밥 15% 수준으로 전망된다.
품질은 기상 여건, 관리 상태 등을 고려할 때 보통 수준으로 예상된다.
 
11월 이후 생산량 및 품질 전망(작년 동기대비)
  단위 : %
 
구분 전국 강원 경기 충청 호남 영남
생산량 -25 -40 -15 -30 -40 -20
품질 좋음 50 13 65 50 40 60
보통 25 13 15 30 30 40
나쁨 25 74 20 20 30 0
  주 : 표본임가 조사치(10월27일~11월5일)
 
 
10월 생표고 가격 작년보다 하락
반입량은 줄고 품질은 양호하였으나, 경기위축 등으로 표고버섯 소비 수요가 감소하여 생표고 가격은 소폭 하락하였다. 10월 평균 가격은 4kg당 특품 30,621원, 상품 20,976원, 중품 13,778원, 하품 7,532원이었으며 작년 동기보다 16%(중품기준) 낮았다.
그러나 반입량이 지속적으로 줄면서 10월 하순이후에는 표고버섯의 가격이 점차 상승하였다.
 
가락시장 월별 생표고 반입량 추이
 
 

자료 : 가락시장
주 : 평년 반입량은 2003~2007년의 월별 반입량 중 최대,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 물량임.

 
10월 생산량 감소, 품질은 양호
표고 생산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소비 또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생표고 가격은 약보합세가 전망된다.
건표고 가격은 생산량이 줄어들면서 전반적으로 작년 동기보다 높게 형성되었다. 특히 일본 수출물량 확보경쟁으로 향신의 가격이 높게 형성되었다. 등급별 평균 가격은 3.75kg당 백화고 394,000원, 흑화고 243,000원, 동고 85,000원, 향고 83,000원, 향신 98,000원, 등외 46,000원이었다.
가뭄, 안개, 저온 현상 등 기상여건 변화로 버섯 발생이 부진하여 11월 이후 생산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건표고 가격은 전반적으로 강보합세가 전망된다.
 
11월 이후 생산량 감소, 품질은 보통 수준일 듯
원목 표고 생산량은 봄철 생산을 위한 억제, 기상여건 변화 등으로 작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톱밥배지 표고 생산량은 최근 수입배지가 증가하는 등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전체적인 생산량은 작년 동기보다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가락시장의 표고버섯 반입 비율은 원목 85%, 톱밥 15% 수준으로 전망된다.
품질은 기상 여건, 관리 상태 등을 고려할 때 보통 수준으로 예상된다.
 
11월 이후 생산량 및 품질 전망(작년 동기대비)
  단위 : %
 
구분 전국 강원 경기 충청 호남 영남
생산량 -25 -40 -15 -30 -40 -20
품질 좋음 50 13 65 50 40 60
보통 25 13 15 30 30 40
나쁨 25 74 20 20 30 0
  주 : 표본임가 조사치(10월27일~11월5일)
 
생표고의 월별 평균 도매가격
 
단위 : 가격-원/4kg, 반입량-톤
 
년도
구분
9월
10월
11월
'08
특품
53,296
30,621
(32,342)
상품
34,253
20,976
(22,491)
중품
18,322
13,778
(14,364)
하품
8,740
7,532
(7,157)
'07
특품
53,196
40,105
30,084
상품
29,164
26,433
19,447
중품
13,580
16,360
12,759
하품
5,222
8,721
7,481
증감율(중품)
34.9
-15.8
-
  자료: 가락시장
주1: 월별 가격은 가락시장 일일 도매가격의 월별 평균가격을 의미함.
주2: 11월은 ( )은 5일까지의 자료임
 
 
건표고 수입은 감소, 조제표고는 지속될 듯
경기 위축, 원화 약세 등 수입여건 악화로 건표고의 10월 수입량(잠정치)은 작년 동기보다 79% 감소한 45톤이었다. 조제표고의 경우, 작년 동기대비 4% 증가한 406톤이 수입되었다.
남북교역을 통한 표고버섯의 연간 반입한도는 800톤으로 9월 현재 430톤 반입되었다.
11~12월 건표고의 수입량은 소비심리 위축, 원화 약세 등으로 작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조제표고의 수입량은 음식점 등 식자재 수요가 꾸준히 있어 현재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수입실적(남북교역량 포함)
  단위 : 톤
 
년도 구분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누계
'08 생표고 19 37 4 (0) - - 581
건표고 101 222 75 (45) - - 2,052
북한산 8 3 1 (-) - - 430
조제
표고
210 307 184 (406) - - 3,255
'07 생표고 15 0 8 0 10 30 267
건표고 142 53 105 215 278 205 2,058
북한산 34 0 0 39 165 87 899
조제
표고
271 203 253

391

434 440 4,054
 

자료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관세청(www.customs.go.kr)
주1 : 10월의 수입실적은 관세청 자료를 기준으로 한 잠정 추계치임.
주2 : 남북교역을 통한 북한산 표고버섯(건표고)의 연간반입한도는 800톤임.

 
건표고 수출, 작년 수준 유지할 듯
10월 건표고 수출량(잠정치)은 31.7톤으로 전월보다는 33% 증가하였으나 작년 동기보다 18% 감소하였다. 주요 수출국은 일본(86%), 미국(7%), 홍콩(4%), 싱가포르(3%) 등이었다.
최근 원화 약세 등으로 향신에 대한 일본에서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 수출업자들의 물량확보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나 물량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11~12월 건표고 수출량은 작년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건표고의 월별 수출량 동향
 
 

자료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관세청(www.customs.go.kr)
주1 : 10월의 수입실적은 잠정 추계치임.

 
 
내년 신규 접종 의향 감소
재배 임가의 51%가 내년 신규 접종 의향이 없거나 아직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목 가격의 상승, 고령화에 따른 인력부족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표고 생산량 감소할 듯
원목 표고 생산량은 가을버섯의 생산 억제, 저온성 버섯의 생산저하 등으로 감소할 것으로, 톱밥배지 표고 생산량은 수입배지의 증가 등으로 소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전체적인 생산량은 작년 동기보다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생표고 가격은 약보합세, 건표고는 강보합세 전망
표고 생산량은 감소할 것으로, 소비 또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생표고 가격은 약보합세가 전망된다. 건표고 가격은 생산량 감소, 수출물량 확보경쟁 등으로 강보합세가 전망된다.
 
건표고 수입은 감소, 조제표고는 지속될 듯
소비심리 위축, 원화 약세등으로 11~12월 건표고 수입량은 작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조제표고의 수입량은 음식점 등 식자재 수요가 꾸준히 있어 현재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원목 준비 및 종균접종 전 관리 : 원목이 연내에 도착되도록 조치하고 접종 전까지 직사광선, 비, 눈을 맞지 않도록 하우스나 피복자재를 사용하여 관리한다.
종균 품종 선택 및 종균예약 신청 : 재배환경에 맞고 특성을 잘 아는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원목이 확보되는 즉시 종균 공급처에 종균을 예약해야 한다.
폭설에 대비한 하우스 관리 : 겨울철 재배 임가는 11월 중순 이전에 비닐 씌우기 작업을 완료하고 11월 중순 이후에는 차광막을 사용하여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접종목 세우기 작업 및 겨울철 관리 : 종균 배양이 충분한 중고온성 품종은 겨울동안 세우기 작업을 하지만, 배양이 불충분하거나 저온성 품종의 경우에는 내년 버섯발생 작업 전에 세우기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종목이 언 상태에서 겨울을 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저온성 봄 표고 발생준비 작업 : 하우스 재배 임가는 겨울동안 나무를 바닥에 눕혀놓아 지면의 수분을 최대한 흡수하도록 조치하고 노지 재배 임가는 자목을 쓰러트려 겨울을 나도록 조치한다.
 
(자료제공 : 보령시 농업기술센터)
 
 
11월 중순과 12월 상순에는 대륙고기압의 약화 및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평년보다 높겠으나 변동폭이 크겠음. 11월 중순에는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12월 상순에는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평년보다 강수량이 다소 많겠음. 11월 하순에는 일시적으로 찬 대륙고기압이 확장하면서 추운 날씨를 보이겠으나 전반적인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맑고 건조한 날씨를 보이면서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순별 평균기온 및 강수량 ¹
단위 : ℃,㎜
구분 서울 강릉 대전 대구 전주 광주 부산 제주
11월중순 최고기온 11.3 13.5 12.6 14.2 13.5 14.2 16.1 15.8
최저기온 3.1 4.9 2.2 4.0 3.4 4.4 7.6 9.6
강수량 18.7 39.1 18.0 13.3 18.9 18.1 19.5 24.0
11월하순 최고기온 8.0 11.1 9.7 11.3 10.5 11.5 13.5 13.6
최저기온 -0.2 2.3 -0.7 1.0 0.6 1.7 4.8 7.3
강수량 14.1 13.4 16.6 10.0 19.8 19.4 17.9 23.0
12월상순 최고기온 6.0 9.6 7.9 9.7 8.8 9.7 12.1 12.4
최저기온 -1.8 1.0 -2.4 -0.8 -0.9 0.1 3.3 5.9
강수량 10.4 14.7 13.5 6.4 13.3 13.1 9.4 13.8
주: 1) 1971~2000년의 평균치임
 
* 임업관측 2009년 4월호 예고(예정일자 : 2009. 3. 15) *

 

 
품목: 표고버섯
내용: 재배동향 및 가격동향, 수출입 동향
『임업관측월보』는 인터넷과 임업전문지를 통해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임업관측월보』와 관련하여 의견이 있으신 분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내의 우측【바로가기】을 선택한 후【질의응답】을 이용하여 의견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 ☞ http://www.krei.re.kr ☎ 02) 3299-4290 FAX : 02) 960-0165 http://www.forest.go.kr ☎ 042) 481-4206 FAX : 042) 471-1446
담당자 : 장철수, 석현덕, 김영단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