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임업관측정보

제4유형
임업관측정보 상세보기 - 카테고리, 제목, 파일, 내용 정보 제공
2008_ 08표고버섯관측월보
 년   월
파일
 
   
 
여름철 소비 감소, 품질 저하 등으로 7월 이후 생표고 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나 8월 이후에는 출하량 감소로 점차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병해충 작년보다 감소, 장마철 철저한 관리 필요
표고자목의 병해충 발생률은 33%로 마른장마가 지속되면서 작년에 비해 감소하였다. 주요 병해충은 푸른곰팡이, 충해, 주홍꼬리버섯 등이었다.
병해충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적정한 차광망을 사용하여 온도상승을 억제하고 자주 환기를 시켜 적정습도를 유지하는 등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단위 : %
 
병해충
발생률
작년동기대비 증감률 병해충 종류
증가 비슷 감소 푸른곰팡이 주홍꼬리버섯 잡버섯 흡부병 기타충해
33 13 20 67 32 15 13 6 34
  주: 표본농가 조사치(6월 28일 ~ 7월 3일)
   
6월 생산량은 감소, 품질은 보통
   
생표고 생산량은 여름버섯의 재배규모 감소와 생산량 자체 감소로 작년동기대비 23% 감소하였다. 품질은 장마철 잦은 기상여건 변화로 전반적으로 보통수준이었다.
톱밥재비에 의한 생산량은 소폭 증가하여 6월 가락시장의 생표고 반입량은 원목 70%, 톱밥배지 30% 수준이였다.
   
6월 생표고 생산량 및 품질 동향
  단위 : %
 
작년 대비 생산량 증감률 품질
전국 경기 강원 충청 호남 영남 제주 좋음 보통 나쁨
-24 -30 -20 -26 -21 -30 0.0 35 55 10
   
 
7월 이후 생산량은 소폭 감소, 품질은 저하될 듯
여름철 기상여건 변화와 생산 억제로 7월 이후의 생산량은 작년 동기보다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품질은 보통 수준으로 예상되나 여름철 기상여건에 따라 나빠질 가능성이 높다.
톱밥배지 방식에 의한 생산량은 전월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며 가락시장의 생표고 반입 비율은 원목 80%, 톱밥배지 20% 수준으로 전망된다.
   
7월 이후 생표고 생산량 및 품질전망
 
단위 : %
 
작년 대비 생산량 증감률 품질
전국 경기 강원 충청 호남 영남 제주 좋음 보통 나쁨
-9 -16 -10 -12 -20 -5 0 12 85 3
 

주: 표본농가 조사치(6월 28일 ~ 7월 3일)

   
 
   
 
6월 생표고 가격, 작년보다 높게 형성
월평균 도매가격은 4kg당 특품 44,974원, 상품 32,277원, 중품 19,677원, 하품 9,679원으로 특·상품을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작년보다 높게 형성되었다.
이는 표고 재배임가의 출하량이 감소함에 따라 반입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인데 가락시장의 경우 6월 반입량은 작년 동기대비 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표고의 월별 평균 도매가격과 반입량
 
단위 : 가격-원/4kg, 반입량-톤
 
년도
구분
5월
6월
7월
'08
특품
39,484
44,974
(51,195)
상품
28,491
32,277
(33,376)
중품
17,719
19,677
(18,692)
하품
8,653
9,679
(8,939)
반입량
528
417
(72)
'07
특품
38,412
44,500
49,257
상품
29,321
32,126
30,287
중품
19,678
20,171
15,874
하품
9,749
10,751
6,786
반입량
493
436
509
  자료: 가락시장
주1: 월별 가격은 가락시장 일일 도매가격의 월별 평균가격을 의미함.
주2: 7월은 3일까지의 자료임.
   
 
6월 건표고 가격, 전반적으로 상승
평균 입찰가격은 3.75kg당 백화고 520,000원, 흑화고 260,000원, 동고 98,000원, 향고 87,000원, 향신 91,000원, 등외 45,000원으로 전반적으로 전월보다 소폭 상승하였다.
히, 국내 건표고의 생산량 감소와 수출업체의 물량확보 경쟁으로 동고 및 향신 가격이 높았다.
   
건표고의 월별 평균 입찰가격 및 물량
 
단위 : 가격, 천원/3.75kg, 물량-톤
 
년도
등급
4월
5월
6월
'08
백화고
560 525 520
흑화고
350 286 260
동고
71 91 98
향고
89 82 87
향신
77 84 91
등외
42 43 45
입찰물량
79.6 61.4 17.3
 

자료 : 장흥 유치농협

   
 
7월 이후 생표고 가격은 하락 후 상승할 듯
올해 생표고 가격은 전반적으로 작년보다 다소 높게 형성되고 있으나 장마철 기상변화에 따른 품질저하, 학교급식 등 여름철 소비감소로 7월 이후의 생표고 가격은 전월보다 하락할 전망이다. 그러나 여름버섯의 출하량 감소로 8월 이후에는 점차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표고(중품)의 일별 도매가격 동향
 
 

자료: 가락시장
주1: 일일가격은 5일 이동평균가격임.
주2: 평년가격은 2003∼2007년의 가격 중 최대치,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가격임.

   
 
   
 
7월 이후 건표고 수입은 지속될 듯
북한산 반입량(96톤)을 포함한 건표고의 6월 수입량은 223톤으로 작년 동기대비 56% 증가하였다. 이는 국내 건표고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높게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조제표고의 경우 204톤으로 작년 동기대비 38% 감소하였다.
물량 부족으로 인한 건표고의 가격상승으로 7월 이후에도 수입은 지속될 전망이다. 조제표고의 수입은 감소 추세에 있어 크게 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실적(남북교역량 포함)
  단위 : 톤
 
년도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5월누계
'08 생표고 124 32 297 41 18 10 521
건표고 466 142 196 282 282 223 1,602
북한산 69 14 58 134 77 96 418
조제
표고
450 204 462 603 227 204 2,148
'07 생표고 73 89 11 0 22 10 15 0 8 0 10 30 195
건표고 217 176 105 195 224 142 142 53 105 215 278 205 918
북한산 108 106 36 101 137 85 34 0 0 39 165 87 488
조제
표고
314 394 209 575 273 329 271 203 253

391

434 440 1,734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관세청(www.customs.go.kr)
주 : 6월의 수입실적은 관세청 자료를 기준으로 한 잠정 추계치임.

   
 
7월 이후 건표고 수출, 작년과 비슷할 듯
6월 건표고 수출량은 31.5톤으로 작년 동기대비 12% 감소하였으며 주요 수출국은 일본(52%), 미국(18%), 홍콩(11%), 중국(9%), 싱가포르(7%) 등이었다.
국내 표고버섯에 대한 해외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물류비, 규격화, 연중생산체계 구축 등의 문제로 7월 이후 수출량은 작년과 비슷할 전망이다.
   
건표고의 월별 수출량 동향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병해충 피해 철저한 관리 필요
장마철 병해충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적정한 차광망을 사용하여 온도상승을 억제하고 자주 환기를 시켜 적정습도를 유지하는 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7월 이후 생산량 소폭 감소, 품질 저하될 듯
여름버섯의 재배규모 감소와 기상여건 악화로 7월 이후의 생산량은 작년 동기보다 소폭 감소할 전망이며, 품질은 여름철 기상변화에 따라 나빠질 가능성이 높다.
 
7월 이후 생표고 가격은 하락 후 상승할 듯
품질저하, 소비감소 등으로 7월 이후의 생표고 가격은 하락할 전망이다. 그러나 여름버섯의 출하량 감소로 8월 이후에는 점차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7월 이후 건표고 수입은 지속될 듯
물량부족으로 인한 건표고의 가격상승으로 7월 이후에도 수입은 지속될 전망이다. 조제표고의 수입은 감소 추세에 있어 크게 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1) 온도관리: 7~8월은 표고 균사생육의 최적조건(27~30℃)보다 높은 고온기로 30℃이상이면 균사의 활착이 지연되며 35℃이상이면 균사가 사멸하므로 주의가 요망된다. 종종 이른봄에 종균접종을 하고 차광망 밑에 비닐을 덮어 놓는 경우가 있는데 균사가 고온으로 사멸 또는 해균 피해를 보는 경우가 있다.
2) 수분 및 습도 관리: 여름철에는 적정한 차광망을 사용하여 온도상승을 억제하고 하우스내 관리 골목은 주기적인 관수가 필수이다. 장마기간에는 자주 환기를 시켜 적정습도를 유지해야 한다. 골목은 2~3회 뒤집기로 균사가 고르게 성장하도록 해야한다.
3) 환기관리: 골목장내 통풍을 원활히 하기위해서는 베갯목 쌓기, 우물정자 쌓기와 골목간 간격유지로 환기를 원활하게 해야한다. 재배장 주변은 잡초를 제거하여 공기흐름을 원활하게 해야하며 골목과 차광망 사이를 최소한 1m이상 띄워서 공기흐름을 좋게 해야한다.
4) 병해충 예방관리 : 병해충 대부분은 표고균과 자리싸움을 하는 경합균으로 표고균이 먼저 활착되어 우량한 버섯목이 되면 병해충의 발생이 적어진다. 병해충 방제의 가장 기본은 골목내 균사세력을 키우는 것이며 장마 전후 적용약제를 2~3회 실시하되 소비자들의 친환경식품에 대한 선호를 고려하여 신중을 기해야한다.
  (자료제공 : 전남 화순군농업기술센터, 061-372-5959)
   
 
1) 개정고시일 : 2008. 7. 3. 농림수산식품부고시 제2008-35호
2) 개정이유: 버섯재배소독기에 대한 면세유 공급기준을 마련. 농·축산·임·어업용기자재및석유류에대한부가가치세영세율및면적용등에관한특례규정 시행규칙 개정(기획재정부령 제13호,‘08. 4.24)에 따라 공급기준 마련
3)
주요내용: 버섯재배소독기에 대한 농업용 면세유류 공급기준을 소독방식에 따라 차등하여 면세유류 공급
□ 병ㆍ봉지소독 : 살균솥 용적(㎥)기준, 살균솥 용적(㎥)×7.37ℓ×소독횟수(년 284회 이내에서 실 소독회수)
□ 균상재배 소독 : 재배사면적(㎡)기준, 재배사 면적(㎡)×21.1ℓ×소독횟수(년 3회를 상한으로 실 소독회수)
4) 버섯소독기 면세유 공급 가능시기: '08년 7월 중, 고시 개정에 따른 농협 면세석유류 공급준칙 및 전산 프로그램 변경 후 공급가능
(문의처 : 농협중앙회 전국 시군지부 경제팀 또는 자재부 정승주 차장, 02-2080-6425)
   
 
   
 
기압계 전망
 
7월 중순에는 장마전선이 소강상태를 보일 때가 있어 강수량은 평년보다 다소 적을 것으로 예상됨. 기온은 전반적으로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상층 한기의 남하로 일시적인 저온현상이 나타나는 등 기온변화가 크겠음. 7월 하순에는 대기불안정 및 기압골의 영향으로 지역에 따라 다소 많은 비가 오겠으며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8월 상순에는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에서 구름끼는 날이 많겠으며 대기불안정에 의한 국지성 호우 가능성이 높겠으나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순별 예보
순별
날씨
기온
강수량
 7월중순  구름끼는 날이 많겠음  평년(평균기온 19~26℃)과 비슷하겠음  평년(53~131㎜)보다 적겠음
 7월하순  구름끼는 날이 많겠음  평년(평균기온 20~27℃)과 비슷하겠음  평년(50~135㎜)보다 많겠음
 8월상순  구름끼는 날이 많겠음  평년(평균기온 20~27℃)과 비슷하겠음  평년(39~133㎜)과 비슷하겠음
   
  순별 평균기온 및 강수량 ¹
  단위 : ℃,㎜
 
구분 서울 강릉 대전 대구 전주 광주 부산 제주
7월중순 최고기온 28.4 27.5 29.1 29.7 29.5 29.3 27.1 29.0
최저기온 21.5 20.8 21.5 21.9 22.1 22.2 21.7 23.1
강수량 110.2 65.8 115.1 80.7 104.1 116.8 90.0 73.5
7월하순 최고기온 30.0 29.3 31.1 31.7 31.7 31.1 28.9 30.0
최저기온 23.2 22.4 23.0 23.4 23.5 23.6 23.4 24.2
강수량 113.4 75.4 91.6 64.3 78.7 90.0 92.8 70.6
8월상순 최고기온 30.2 29.7 31.1 32.1 31.7 31.4 29.6 30.4
최저기온 23.0 22.5 22.7 23.3 23.3 23.4 23.7 24.4
강수량 130.2 86.5 90.6 51.8 84.6 71.8 57.7 52.6
  주: 1) 1971~2000년의 평균치임
   
 
* 임업관측 2008년 10월호 예고(예정일자 : 2008. 9. 15) *

 

 
품목: 표고버섯
내용: 재배동향, 생표고 및 건표고 가격 동향, 수출입 동향, 요약 및 종합전망
『임업관측월보』는 인터넷과 임업전문지를 통해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임업관측월보』와 관련하여 의견이 있으신 분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내의 우측【바로가기】을 선택한 후【질의응답】을 이용하여 의견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 ☞ http://www.krei.re.kr ☎ 02) 3299-4290 FAX: 02) 960-0165 http://www.forest.go.kr ☎ 042) 481-4206 FAX: 042) 471-1446
담당자 : 장철수, 석현덕, 김영단
 

맨위로